[대한경제=김현희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은행권의 지점 통폐합 움직임에 대해 "금융업계가 금융서비스 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 원장은 26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6개 금융협회장과 각 업권 금융회사 소비자보호담당 임원, 소비자단체, 장애인 단체 등이 참여한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세미나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금감원이 조사한 결과, 지난 10월 기준 전국의 은행 점포수는 5690개로, 지난 2019년 6738개였는데 5년간 1189개 감소했다. 올해 폐쇄된 점포 대부분(72.9%)은 1㎞ 이내 도보생활권에 위치한 지점들이었다. 전체 은행 점포 폐쇄 중에서도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이 69%나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다.
이들 4대 은행은 지난 5년간 점포 412개와 ATM기 5710대를 폐쇄했다. 디지털 전환에 따라 대면 거래 비중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지만 여전히 지점을 통한 여수신 업무비중은 지난해 기준 절반 가까이인 45.2%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인구 10만명당 점포와 ATM수는 지난 10월말 기준 수도권 70.6개, 비(非)수도권 57.3개를 기록했는데, 금융소외계층이 상당한 지방 지역이 수도권보다 더 적은 수준이다.
금감원은 이같은 점을 지적, 단기 비용 절감을 우선으로 하는 점포 폐쇄 전략은 고객 이탈 등으로 은행의 중장기 수익 기반을 훼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은행권이 소극적인 공동점포 전략 및 AI지점 등 다양한 대체 수단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해 4월부터 ATM을 점포 폐쇄 대체수단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금감원은 은행권과 함께 '대체수단 활성화 TF'를 구성, 공동점포 등 대체수단을 설치하는 협의 절차나 비용발생시 분담 원칙 등을 담은 은행권 가이드라인을 마련키로 했다. 은행권의 AI지점 설치를 위한 규제 샌드박스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장애인 응대 메뉴얼을 일괄 점검하기로 했다. 장애 유형별로 응대 메뉴얼을 상세히 마련할 계획이다.
이복현 원장은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장애인의 금융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도 지속 확충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현희 기자 maru@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