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AI 클러스터로 다시 짓는다”…금천 독산동 공군부지, 국정과제로 제안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7-17 11:14:52   폰트크기 변경      
국비 없이 추진 가능한 ‘G-PROJECT’

G밸리 연계해 AI산업 거점으로 탈바꿈


서울 금천구가 17일 독산동 공군부대 부지를 AI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G-PROJECT’를 국정과제로 꺼내들었다. 사진은 공군부대 개발 조감도와 함께 있는 유성훈 금천구청장. / 사진 : 금천구 제공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서울 금천구가 독산동 공군부대 부지를 AI 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하는 이른바 ‘G-PROJECT’를 국정과제로 꺼내들었다.

중소벤처기업 최대 밀집지인 G밸리와의 연계를 강점으로 내세운 이 프로젝트는 별도 국비 없이 추진 가능하다는 점에서 정부 부담을 최소화하는 모델로 주목된다.

17일 구는 새롭게 출범한 국민주권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 △G-PROJECT △G밸리 혁신 △주민자치회 활성화 등 3가지 성장전략을 공식 제안했다. 

G-PROJECT는 도심 내 AI 실증과 확산 기반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사업의 핵심은 금천구 독산동 공군부대 유휴부지(약 12만5000㎡)와 G밸리를 연계해 AI 기반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해당 부지는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 대상지로 선정됐으며, 서울 도심 내 용도ㆍ밀도 제한이 없는 화이트존이자 국유지로 사업 추진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민간 협력 방식을 통해 국비 없이도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도 특징이다.

배후에는 지식산업센터 개수 전국 1위, IT 기반 산업 밀집지인 G밸리가 있다. 산업군별 중소기업 활용도가 높고, AI 기술실증ㆍ고도화에 적합한 생태계를 갖춘 점도 G-PROJECT의 경쟁력으로 꼽힌다.

유성훈 구청장은 “독산동 공군부대 부지는 입지적 장점, 서울 도심 내 대규모 융복합 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희귀성, 화이트존으로의 특수성 등을 갖추고 있다”라며 “AI 기반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에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G밸리의 공간구조 및 규제 개선 방안도 함께 제안됐다. 주요 내용은 △네거티브 방식의 산업입지 규제 완화 △개발이익의 지자체 활용 권한 부여 △서부간선도로~수출의다리 일대 교통체계 개선 △DNA(DataㆍNetworkㆍAI) 산업 친화형 산단 전환 △구로세관 부지 개발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시설 구축 △G밸리 가든팩토리 등 친환경 전환 구상이다. 금천구는 이를 통해 G밸리를 지속가능한 도시형 산단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구는 지난 7년간의 주민자치회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주민자치 제도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지방자치법 개정 및 주민자치회 지원법 제정을 통한 자율성 확보, 디지털 주민의회 및 공론장 마련, 마을자치회 제도화, 공법인격 부여 및 재정지원 체계 구축 등이 주요 골자다.

구는 전국 최초로 전 동에 주민자치회를 운영하며, 자치회관 위탁 운영과 공론형 주민총회 도입 등 ‘금천형 주민자치’ 모델을 정착시켜왔다. 이번 제안은 이 성과를 국가 차원의 제도로 확산하려는 시도다.

유성훈 구청장은 “이번 제안은 ‘진짜 대한민국’을 여는 국민주권정부의 정책기조를 기반으로 AI, 산업, 자치라는 세 축을 중심으로 국가의 균형발전, 지역의 미래 경쟁력과 주민의 권한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적 기획”이라며, “지방정부가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서 책임과 실천을 함께 나누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정치사회부
박호수 기자
lake806@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