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데스크칼럼] 전국구 공공건축가?

채희찬 건설산업부장조달청이 얼마 전 발표한 ‘건축 설계공모 혁신방안’에 대한 말들이 많다.공공건축물 설계공모 심사의 불공정 우려를 해소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 방안은 △심사위원 다양화 △심사위원 이력관리 강화 △심사과정 공개 확대 등을 통한 설계공모 심사의 공정성과 투...2025-09-17

[언주로 칼럼] 더닝-크루거 효과

[대한경제=조성아 기자]‘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역량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인지 편향을 말한다. 능력이 없기에 잘못된 판단을 내리고 결국 잘못된 결론에 이르지만, 능력이 없기에 자신이 무슨 실수를 했는지도 알아차리지 못한다. 더닝-크루거 효과는 1999년 ...2025-09-16

[언주로 칼럼] ‘15개월째’ 건설기성액 감소가 주는 의미

건설기성액은 현재 건설경기 상황을 방증하는 지표로 불린다. 시공사가 발주자와 계약한 전체 금액에서 매달 기진행된 공사에 대해 지급된 금액을 의미하는 탓이다. 때문에 정부와 건설업계에서는 건설기성액을 통해 공사 진척도를 파악하고, 시장 동향을 살핀다.건설기성액이 15개월 연속으로 감소...2025-09-15

[데스크칼럼] 전력망 건설의 패러다임 전환

[대한경제=정회훈 기자]지난 10일 <대한경제>는 대한전기협회와 함께 ‘AI(인공지능) 시대, 안정적 전력 공급 시스템 구축 방안’을 주제로 2025 제4회 에너지전략포럼을 개최했다. 오는 26일 전력망특별법 시행을 앞둔 터라 전력산업계는 물론 건설ㆍ에너지업계 관계자들은 폭발적인 관심을 나타냈다.그...2025-09-12

[언주로칼럼]인허가와 착공

[대한경제=이재현 기자]이재명 정부가 첫 주택공급대책에서 공급지표를 ‘인허가’가 아닌 ‘착공’으로 바꿨다. 언뜻 기술적 조정처럼 보이지만, 정책의 기준점을 ‘가능성’에서 ‘행동’으로 옮긴 신호다.인허가와 착공 사이에는 적어도 4개의 협곡이 있다.첫째는 돈이다. 인허가까지는 비교적 ...2025-09-11

[언주로칼럼] 실종된 백년대계

[대한경제=이승윤 기자]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대규모 정부조직 개편안을 확정했다. 기획재정부의 기능 분리와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 등 굵직한 내용이 여럿 담겼다.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검찰청 폐지’다. 검찰청은 폐지하는 대신, 기소ㆍ공소유지를 담당하는 법무부 소속 ‘공소청’과 ...2025-09-09

[데스크칼럼] 스테이블코인과 합종연횡

코인(가상자산) 시장이 잠잠하다. 여전히 주식 보다는 코인이이라는 사람도 많고 결정적 ‘한방’은 결국 코인 뿐이라는 사람도 많지만, 지난해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했을 당시와 비교하면 한 풀 꺾인게 사실이다.그마나 최근 알트코인 대장주인 이더리움이 한화 600만원 선을 넘어서는 등 활기를 보...2025-09-08

[데스크 칼럼] 극한 가뭄 그리고 SOC

강원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된지 일주일 가까이 지났다.이번 재난사태는 앞서 강릉을 할퀴고 간 산불 때문도 아니고, ‘루사’ ‘매미’ 같은 태풍 때문도 아니다. 바로 최악의 가뭄 때문이다.강릉 주민들은 물이 부족해 그야말로 악몽 같은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금 강릉 주민들에게 시원하고, 개...2025-09-05

[언주로칼럼] 보여주는 소비

문수아 생활경제부 유통팀장대학 동기 하나가 세제를 팔며 돈을 번다. 그것도 꽤 잘 번다. 설거지하고 빨래하는 모습은 주부라면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을 법한데, 정성스럽게 촬영하고 편집한다. 사진과 영상을 SNS에 올리면 댓글이 달리고, 답글이 오가고, 매출로 이어진다. 쌓인 팔로워 덕에 브랜...2025-09-04

[언주로 칼럼] SOC 증액 골든타임

이재명 정부의 첫 본예산이 베일을 벗었다. 정부는 내년도 중앙정부 예산안이 총지출 728조원 규모로 편성됐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보다 8.1% 이상 증가한 규모로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폭으로 예산안 규모가 늘어났다. 0%대 저성장 국면을 극복하기 위해 확장 재정 기조를 담은 것...2025-09-03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