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예방사업 지침 이후 서울ㆍ경남ㆍ세종 등 급락
[e대한경제=이계풍 기자] 건설신기술 업계의 실적 악화는 행정안전부의 ‘제식구(방재신기술) 챙기기’가 본격화된 결과다.
지난해 8월 행안부는 앞으로 지자체가 발주하는 재해예방사업의 경우 방재신기술을 우선 활용하라는 내용의 ‘재해예방사업 추진지침’을 내려보냈다. 그리고 새 지침 통보 후 지자체 사업에서 건설신기술보다 방재신기술의 활용 빈도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실제로 2019년 전체 신기술 활용 금액의 30%를 차지하던 지자체 실적은 지난해에 20%까지 추락했다.
지자체별로는 세종과 경남, 서울 등 3개 지자체의 감소폭이 컸다.
지난해 세종의 건설신기술 활용 금액은 30억원으로 전년(162억원)보다 81.5% 감소했다. 공사 건수도 전년(31건) 대비 절반에 그친 17건만 지역 공사에 활용했다. 낙폭만 보면 전국 지자체 중 가장 크다. 다만, 세종의 경우 신규 개발 단지가 줄어들면서 토목공사가 마무리 단계이고, 주거단지를 빼고는 발주공사가 감소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경남도 건설신기술 활용이 많이 줄었다. 지난해 경남의 건설신기술 적용 공사비는 298억원으로 전년(445억원) 대비 33.0% 감소했으며, 신기술 활용 건수도 10.5% 줄어든 111건으로 집계됐다.
전국 지자체 공사의 13%가량(공사비 기준)을 차지하는 서울도 전년(739억원)보다 20.7% 줄어든 586억원을 건설신기술 활용에 썼다. 다만, 활용 건수는 458건으로 전년(452건)보다 소폭 올랐다.
이 외에 △강원(공사비 266억원→166억원) △충남(380억원→224억원) △울산(234억원→129억원) △대전(102억원→75억원) △경북(301억원→244억원) △부산(232억원→228억원) △경기(1415억원→1380억원) △충북(220억원→210억원) △전북(247억원→240억원) 등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건설신기술 활용 실적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대구ㆍ광주ㆍ제주 등 일부 지자체에선 전년보다 건설신기술을 더 많이 활용했다.
대구는 지난해 94건의 공사에 217억원을 투입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공사 건수는 40.2%, 활용 금액은 126.0% 늘어났다. 광주와 제주도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108억원과 12억원을 건설신기술 활용에 투입했다. 전남도는 전년(205억원) 대비 68.8% 늘어난 346억원을 건설신기술 활용에 사용했으며, 인천은 소폭 늘어난 190억원을 투입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지자체가 행안부의 눈치를 보며 방재신기술 활용에만 집중하고 있다”며, “균형 있는 신기술 시장 발전을 위해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계풍기자 kplee@
〈ⓒ e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