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스마트 신기술 도입 및 스마트 건설 상품ㆍ서비스 지원책도 필요해
건설업 노동생산성이 나홀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인 배경에는 ‘마이너스 건설투자’ 등 정책ㆍ경기 상황에 따른 요인과 ‘숙련도 저하’ 등 인력 자체의 요인이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생산성본부는 2020년 전산업의 부가가치가 전년 대비 1.3% 감소한 것을 두고 “설비투자와 정부소비가 전년보다 증가했으나 민간소비와 수출, 건설투자 감소로 인해 부가가치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건설투자는 △2018년 -4.6% △2019년 -2.5% △2020년 -0.1% 등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했다.
현장에선 건설근로자들의 숙련도 저하 문제도 감지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숙련도가 높고 작업 효율이 가장 높은 30∼40대 근로자의 이탈이 매년 가속화되면서 고령자와 외국인력이 건설 기능인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최근에는 건설노조가 현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생산성이 떨어졌다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업계와 학계 등에선 건설현장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스마트 건설 기술’ 등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나경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 정책간 비대칭적 효과가 누적ㆍ심화된 결과가 노동생산성 저하로 이어졌다”면서 “생산성을 견인할 수 있는 스마트 건설 상품 및 서비스 활성화를 포함해 이를 목적으로 하는 정책도 확대돼야 할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이같은 사태를 예견한 건설업계는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을 위한 선제적 행보에 나서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설계, 시공, 안전관리 등에 관한 기술 도입을 스타트업 투자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다만 국회와 정부의 스마트 건설 기술 활성화 정책 마련에 대한 움직임은 더딘 실정이다.
올해 3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스마트 안전장비 및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비용 지원 등 내용을 담은 건설기술진흥법이 국회를 통과해 이달 중순 시행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곤 산업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법안 발의는 감감무소식이다.
또한 박종면 한국건설교통신기술협회 회장은 지난 3일 ‘건설기술의 날’ 기념식에서 “건설신기술은 3차례의 엄격한 심사과정을 통과해야 지정받을 수 있는 정부 인증이지만, 연간 활용실적은 국내 건설공사의 0.4%에 불과하다”면서, “기술자들의 기술개발 의지를 고취시키고 신기술을 보다 활성화하려면 실질적이고 강력한 지원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권성중기자 kwon88@
〈ⓒ e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