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한경제 CONSTRUCTION NEWS ARCHIVE
글로벌 원자재값 상승 여파에 해외건설현장도 근심
기사입력 2021-06-23 06:00:17   폰트크기 변경      

국산 철근 공급 축소로 해외건설현장도 수급난 겪는 중
계약조건 변경 쉽지 않아 손실 부담 커져
구매처 다변화 노력하지만 코로나19에 따른 이동제한 조치 등으로 여의치 않아


국내를 넘어 해외건설현장도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수급난을 겪고 있다.


건설사마다 자재 구매 시기 조정과 구매선 다변화 등 원가절감 방안을 수립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손실 부담에 대한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일 해외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자재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산으로 전 세계 경기가 살아나면서 넘치는 수요로 인한 가격 인상 추세가 반영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건자재 중 하나인 철강재는 자동차와 조선 등 건설산업 외 다른 전방산업의 철강 수요가 급증, 유통시장의 가수요까지 몰리며 가파른 가격 상승을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 지난해 1t당 연평균 782싱가포르달러 수준이었던 철근 거래 가격은 올해 2분기 평균 1328싱가포르달러로 무려 69.8%나 치솟았다.

이러한 철강재 가격 급등의 원인은 세계 각국의 강력한 환경정책에 따른 것이다.

우선, 가장 높은 수입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이 환경보호를 이유로 철광석 감산에 들어가면서 중국산 철근의 공급 축소와 가격 인상의 영향이 가장 컸다.

중국 정부는 5월 1일부터 내수확보와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철강제품에 대한 철근ㆍH형강에 대한 수출환급세 폐지를 단행한 상태다. 수출환급세는 중국 철강업체가 해외 수출 시 부가가치세 성격인 증치세를 환급해주는 제도다. 중국 정부는 2019년 3월부터 자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13%의 증치세를 돌려주며 수출을 장려해왔지만 올해 중국 건설경기가 살아나며 이를 폐지했다.

아울러 유럽과 미국 등이 철강에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시행한 것도 공급 부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건설사들의 긴장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과 같이 계약체결 시점에 비해 자재 값이 비정상적인 인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업장에 대한 채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해외건설업계 관계자는 “관급공사일 경우에는 계약조건에 자재비 인상분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지만, 민간현장에서는 계약조건 변경이 쉽지 않아 고스란히 시공사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토로했다.

이에 건설사들은 구매시점 조정 및 구매처 다변화를 통해 돌파구를 찾아나서고 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글로벌 원자재 상승 여파로 중국산 철근 등 자재수급 여건이 나빠짐에 따라 원가절감을 위해 납품업체 상황 및 원자재 국제가격의 변동 추이와 해외현장의 소요시점을 고려한 최적의 구매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며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거래선 추가 확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매선 다변화 노력도 난항을 겪고 있다.

철근의 경우, 중국의 대안 시장으로 말레이시아가 떠올랐지만 최근 이곳에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면서 수입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말레이시아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는 3월 29일 941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며, 2개월 후인 5월 29일에는 9020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구 100만명당 신규 감염자는 200명으로 인도 수치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후 확진자 수는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7000명이 넘는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말레이시아 정부가 자동차, 철강업체 직원 출근을 기존 대비 10%만 허용하기로 하며 생산에 차질이 빚어진 상태다.

이 밖에 베트남 등에서도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때문에 이동제한ㆍ봉쇄조치를 시행항에 따라 동남아지역의 물류 운송 시장은 제한적으로만 진행됐다.

해외건설업계 관계자는 “자재수급 불안정 상태가 장기화되면 자재조달 지연과 가격 상승 등의 문제로 손실폭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용기자 hyong@

〈ⓒ e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