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신규 국토교통 ODA 제안사업, 11일부터 접수
각종 컨설팅 등 정부지원사업 소개…업계 애로사항 청취
![]() |
해외건설협회가 6일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CEO 간담회를 개최한 가운데,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김영태 해외건설협회 부회장, 권선준 평화엔지니어링 대표, 김수명 건화 부사장, 이상규 동성엔지니어링 대표, 김용구 도화엔지니어링 사장, 박선호 해외건설협회 회장, 김홍용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부문장, 박민수 한국종합기술 부사장, 임성수 이산 상임고문, 강병윤 수성엔지니어링 대표, 김정환 유신 부사장. /사진= 해외건설협회 제공 |
[e대한경제=백경민 기자] 해외건설협회가 엔지니어링기업 CEO를 만나 2024년 신규 국토교통 국제개발협력사업(ODA) 제안사업 공모에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특히 올해 새로 도입한 세무 컨설팅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을 소개하는 한편, 업계 애로사항 등을 청취했다.
해외건설협회는 6일 서울 중구 일대에서 해외건설 엔지니어링 CEO 간담회를 열고, 이달 11일부터 진행되는 2024년 신규 국토교통 ODA 제안사업 공모 일정을 알렸다.
협회 국제개발협력센터는 9월 중순까지 약 2개월간 사업 제안서를 접수한다.
이후 예산 적정성 및 전문가 검토, 수원국 의견 청취를 거쳐 내년 초까지 우선추진사업과 후순위사업을 가리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내년 상반기 중에는 국회 예산 의결 및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심의ㆍ의결 등이 예정돼 있고, 각종 행정절차를 거쳐 2024년 사업자 선정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해외건설협회는 지난해 국토교통 ODA 사업 전담기관으로 지정됐다. 관련 예산이 늘어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취지다.
국토교통부는 ODA 사업을 통해 지난해 기준 총 29개국, 91개 사업, 1108억원을 지원했다. 이 중 교통 분야가 478억원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도시(154억, 18%), 수자원(119억, 14%) 순으로 나타났다.
협회 관계자는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국토교통 ODA 사업에 큰 역할을 한다”며 “엔지니어링사들이 전략적으로 접근해 사업을 발굴하는 한편, 후속 사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도 기대감을 내비쳤다.
국토교통부는 앞서 2024년 사업부터 시장 개척 및 후속 사업 연계 등 전략적 가치가 높은 지역과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되도록 방향을 개선하기로 했다.
또 수석 자문제(가칭)를 도입해 ODA 대상국과 소통을 확대하고, 사업의 전(全) 주기적 관리를 강화한다.
업계 관계자는 “ODA 사업 추진 시 현지 수원국과 직접적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각종 사업 발굴을 위해 수원국과 원활한 가교역할은 물론, 다양한 지원책이 동반돼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업계는 간담회에 앞서 ODA 사업 전반을 두고 저가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선행돼야 한다는 공통된 견해를 보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ODA 사업은 입찰 과정에서 기획재정부의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 기준을 적용해 낙찰자를 가리는데, 이 기준이 너무 낮아 경쟁력을 깎아먹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술 변별력은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 가격 부문에서 최저가 기준인 60%로 치고들어오면 당해낼 방법이 없다”며 “가격 커트라인을 현실적으로 올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 제안자 가점이 없는 것도 저가 경쟁으로 휘둘리게 되는 요소 중 하나”라며 “원제안자가 보호받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이번 간담회 자리에서 각종 전문가 컨설팅 절차를 소개했다.
특히 세무 컨설팅은 올해 새로 추진되는 정부지원사업 중 하나로, 회계법인과 1:1 컨설팅을 지원을 통해 복합적 경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세무 전략 등을 지원한다.
협회는 또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법령 및 건설환경 조사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협회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 등 세계 경제에 악조건이 많다 보면, 그간 경험해보지 못했던 리스크가 부각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엔지니어링업계가 현지화 전략을 모색하다 보니 기업활동을 직접 지원할 수 있는 컨설팅과 심층 정보 제공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백경민기자 wiss@
〈ⓒ e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