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건설엔지니어링 정책포럼 개최
새 정부에 바라는 건설엔지니어링산업 정책 방향 논의
![]() |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와 김상훈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한 ‘제2회 건설엔지니어링 정책포럼’이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운데, 송명기 회장(왼쪽 네번째)과 김상훈 의원(오른쪽 네번째) 등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e대한경제=백경민 기자] “대한민국만의 건설엔지니어링 고도화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
이복남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교수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제2회 건설엔지니어링 정책포럼’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서 이 같이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건설엔지니어링은 복제식 생산설계에 특화돼 있을 뿐, 창의성을 수반한 콘셉트 디자인 중심의 개념설계엔 상당히 취약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건설엔지니어링은 입력, 생산, 검증 단계로 나눠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정해준 대로 복제만 하면 되는 생산에 강하다”면서도 “입력 단계인 개념설계, 즉 콘셉트 디자인은 복제가 안 되는 부분이어서 상당히 취약한 경향을 보인다. 선진국을 앞지르려면 앞부분이 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교량 3만2000여개, 터널 4만5000여개, 건물만 10만개 이상을 지었는데, 국가대표 건설기술이라 할 만한 게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며 “지금은 남을 뒤따르는 것에 불과할 뿐 대표 기술을 바탕으로 추월선에 서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기술 축적기관의 부재를 건설엔지니어링의 가장 큰 맹점 중 하나로 꼽았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축적 과정은 대표 건설기술의 밑바탕이란 게 그의 생각이다.
이 교수는 “새로운 기술을 내놓았으면 그걸로 끝이 아니라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돼야 한다. 기술의 완성도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며 “축적 과정이 없다 보니 복제하고 가격으로 평가 받는 구조가 고착화됐다. 기술 축적기관은 건설엔지니어링 고도화 사이클 구축의 기본”이라고 설명했다.
정책포럼에서는 정부의 정책 전환을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됐다. 현재와 같은 가격 중심의 낙찰제도로는 해외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두 번째 주제발표자로 연단에 오른 김병수 경북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해외 수주액은 2015년 30억달러를 정점으로 하향 추세에 있다”며 “건설산업 패러다임이 EPC(설계ㆍ시공ㆍ조달)를 총괄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낡은 제도로 기술경쟁력 제고 및 고급 인력 유입 등에 저해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건설엔지니어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35~45%에 달한다”며 “미래를 위해서라도 실비정액가산방식으로 설계대가기준을 통합하고, 스마트기술 및 리스크 관리기술 활성화, 기술인의 책임 강화 등의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건설엔지니어링 역량 강화 방안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적정 대가 지급을 기반으로 진흥 위주의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 등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손영일 도화엔지니어링 사장은 “건설엔지니어링 산업 정책의 분명한 목표와 일관성 유지는 물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강력한 실천 의지를 바탕으로 충분한 예산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며 “계획, 설계, 건설, 운영 등 단계별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매뉴얼 또는 지침을 공유해 안전관리를 뛰어넘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백경민기자 wiss@
〈ⓒ e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