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1~2022년 발주청별 설계 등 용역 발주 현황. /자료=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 |
[대한경제=백경민 기자] 지난해 건설엔지니어링시장 규모가 8조5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내륙철도와 양수발전소 등 대규모 설계 물량이 뒷받침되면서 공공부문의 파이가 커진 영향이 컸다.
다만, 민간 쪽 물량은 물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전년 대비 뒷걸음질쳤다.
18일 한국건설엔지니어링협회(회장 송명기)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발주된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은 총 8조5837억4000만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7조4744억7600만원) 대비 15%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건수로는 1만3224건에서 1만4166건으로 7% 늘었다.
공공부문 설계와 건설사업관리가 20% 이상 동반 증가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설계 발주는 전년도 3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4조원 규모로 올라섰고, 건설사업관리는 2조8000억원에서 3조5000억원까지 확대됐다.
대체로 발주물량 대비 발주금액 상승률이 돋보였는데, 이는 대규모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이 많았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국가철도공단은 지난해 남부내륙철도(2~8공구) 등 100억원대 설계용역 7건을 발주했다. 한국수력원자력도 300억~400억원대 양수발전소 설계용역 3건을 내놨고, 한국도로공사 역시 제천~영월, 계양~강화 등 300억~400억원 안팎의 물량으로 힘을 보탰다.
중앙정부의 설계용역 증가세도 눈에 띈다.
전년도 5612억원에서 7314억원 규모로 30% 이상 몸집이 불었다. 특히 조달청(1368억원→1710억원)과 환경부(74억원→1209억원)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건설사업관리의 경우 토목, 건축 할 것 없이 규모가 커졌다. 토목은 총 2조원대, 건축은 1조원대 규모의 발주가 이뤄졌다.
특히, 건축부문 건설사업관리는 전년도 9255억6900만원에서 1조3144억3300만원으로, 무려 42% 늘었다.
에코델타시티 건설사업관리용역(185억)과 인천 검단 주택건설사업 건설사업관리용역(108억) 등 대규모 임대주택 발주가 상승세의 중심에 섰다.
공공 임대주택 확대 등 정부정책과 함께 미뤄졌던 사업들의 발주세가 이어졌다는 평가다.
다만, 민간(공동주택 감리) 물량은 1조1137억원으로, 전년(1조3441억원)보다 17%가량 줄었다. 민간 감리 감소세는 인건비와 원자잿값 등 물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해 민간 감리 규모는 300가구 미만에서만 소폭 상승했고, 전체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1500가구 이상 대형 공동주택 발주금액이 3033억원에서 2049억원 수준으로 1000억원가량 대폭 감소했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해는 전년도보다 SOC(사회기반시설) 예산이 증가하기도 했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조기 발주 등 영향으로 전반적인 발주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며 “올해는 지속적인 자잿값 상승과 함께 SOC 예산 감소, 경기 침체 등이 맞물려 발주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백경민기자 wi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