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설경제>는 지난주 정부가 최근 발표한 ‘광역교통 2030’ 대책을 집중 분석하는 기획기사를 내보냈다.
반응은 뜨거웠다. 기사 대부분이 조회 수 상위 10위 건에 자리매김하는 등 독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광역교통 2030’은 앞으로 10년간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 방향과 광역교통의 미래모습을 제시하는 기본구상이다.
광역교통 2030의 핵심은 무엇보다도 “세계적 수준의 급행 광역교통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광역거점 간 통행시간을 30분대로 단축하고 통행비용을 최대 30% 절감하며 환승 시간을 30% 감소한다는 3대 목표를 제시했다.
이 야심 찬 목표의 한가운데에는 GTX와 대심도 지하도로가 있다.
먼저 GTX는 A노선을 차질없이 준공하고, B, C노선은 조기 착공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게다가 D노선 추진 계획까지 내놨다.
수도권과 지방에 거주하는 시민들 대부분이 일자리가 많은 도심으로 출퇴근하려고 많은 시간을 쏟는 고통을 겪고 있기에 이 비전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기획기사의 취지는 ‘광역교통 2030’에 대한 시민 기대감이 크기에 정부가 제시한 비전이 실제로 10년 안에 구현 가능한 것인지 점검해보자는 것이었다.
시민들은 무엇보다 계획을 목표시기대로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장밋빛 계획만 내놓고 추진은 거북이걸음을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실제 가장 진행 속도가 빠르다던 A노선은 착공식만 열고 첫 삽도 뜨지 못한 상태다. 노선 주변 주민들의 굴착 반대가 숙제다. 정부가 더욱 적극적인 방안으로 주민 설득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A노선과 함께 B노선과 C노선 추진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A노선 진행 과정처럼 예상치 못한 지연 변수가 등장할 수 있다며 준공 목표 시점을 맞추려면 초기 단계부터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문이다.
구체적인 노선도 없이 불쑥 추진 계획을 밝힌 D노선에 대해 시장에선 아전인수격 ‘노선 긋기 놀이’가 진행 중이다. ‘희망 고문’을 없애려면 하루빨리 노선을 비롯한 구체적인 추진 계획이 나와야 할 것이다.
대심도 지하도로와 도로 복층화는 이미 포화상태에 빠진 기존 광역교통망의 통행량을 분산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해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만, 기술적인 문제는 없다고 하더라도 교통 체증을 해결하는 게 최대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GTX와 비슷하게 주민들의 반대도 우려된다.
정부가 원활한 대심도 교통시설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한다. 안전ㆍ환경기준을 높이고 사업관리를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토지이용 제한과 재산권 보호방안도 담길 예정이다.
시민들 바램은 신속한 추진이다. 안전은 기본이다. 모든 행정 역량을 여기에 집중하기 바란다.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