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외건설 위기가 심각하다. 2010년 715억달러를 달성했던 해외건설 수주액이 지난해 230억달러 가량에 머물렀다니 참담한 상황이다.
<건설경제>가 1월28일자 기획기사 ‘위기의 건설한류, 참담한 현주소’에서 진단했듯이 해외건설의 위기는 외적 요인으로 △중동 발주물량 감소 △중국의 약진, 내적 요인으로는 △국내 인프라사업 감소ㆍ헐값 공사비에 따른 손실→사업 축소→기술개발 쇠퇴, 고급인력 양성 부족 △해외공사 대규모 손실에 따른 선별 수주 △리스크 회피에 따른 주택사업 치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중 해외수주 감소의 내적 요인은 정책에 1차 책임이 있다. 국내 공공건설과 민간투자사업 시장의 축소가 불러온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해외수주액은 2015년 461억달러로 꺾이기 시작해 △2016년 281억달러 △2017년 290억달러 △2018년 321억 달러로 내리막을 걸었다.
이 기간 정부 SOC 예산 역시 2016년 23조1000억원으로 하락세를 타기 시작해 △2017년 22조1000억원 △2018년 19조원으로 급락했다.
민자사업 실시협약 금액은 2007년 11조6000억원을 기록하고 나서, 2009년(9조300억원)→2012년(5조9000억원)→2015년(5조3000억원)→2017년(4조2000억원)으로 계속 쪼그라들었다.
사업건수 역시 2007년(119건)→2009년(95건)→2012년(31건)→2015년(16건)→2017년(9건)으로 계속 줄었다.
이런 기조에 따라 건설사들은 그동안 기초체력(공공ㆍ민자) 대신 외형(주택사업)에 매달렸다. 굴지의 대형건설사가 조직 축소 또는 폐지에 따라 공공ㆍ민자사업 전문가들을 주택사업으로 ‘징집’하는 사례도 있었다. 규모를 떠나 우리나라 건설사들이 모두 고만고만한 주택사업자가 돼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국내 공공건설ㆍ민자시장 참여는 실적과 기술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해외수주 발판이 된다. 국내 공공건설ㆍ민자시장에서 충분한 시공ㆍ사업 경험을 쌓아야 기술력을 축적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시장에서 경쟁국 기업들과 승부를 겨룰 체력이 생긴다. 적정 수준의 인프라 사업 발주와 댓가 지급이 필요한 이유다.
정부는 발주제도의 글로벌 스탠더드화를 위해 수년 전부터 시장의 요구로 시공책임형CM, 순수내역입찰 등을 도입했지만, 시장에 보편화하기에는 발주물량이 너무 적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26명이 쓴 <축적의 시간>에 따르면, 한 나라의 기술력은 ‘기술개발→산업현장 적용→시행착오→향상된 기술개발’이라는 과정을 반복, 축적하면서 생긴다고 설명한다.
축적의 시간이 앞으로 산업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볼 때, 우리나라 건설산업이 축적의 시간을 충실히 쌓고 있느냐는 의문이다. 국내 공공ㆍ민자사업 현장이 줄어들면서 기술력을 쌓을 축적의 시간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건설 부활은 국내 공공건설ㆍ민자시장 회복부터 시작돼야 하는 이유다.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