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데스크칼럼]신종 코로나가 건설산업에 던진 과제는?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0-02-10 05:00:32   폰트크기 변경      
   

골조공사가 원활한 따뜻한 겨울날씨가 이어졌음에도 불구, 작년 같은 달보다 20%나 급감한 1월 판매 실적에 레미콘업체마다 비상이 걸렸다. 설 연휴가 작년보다 이른 1월이기에 2월 충분히 만회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또 빗나갔다. 설 이후 2주일여 기간의 판매량 감소폭이 30%대로 더 커진 탓이다. 답답한 마음에 건설사와 건설현장에 수소문했는데, 이유가 따로 있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막혀 골조공사를 수행했던 중국계 기능공들의 귀국이 늦어지면서 설 연휴 후에도 2주 가까이 현장 공정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중국의 전염병 하나에 휘청거리는 대한민국 건설ㆍ건자재 산업의 취약한 인력구조를 재확인한 계기다. 대한건설협회의 집계치에 따르면 국내 건설현장의 외국인 근로자는 전체 근로자의 20%가량인 22만6000여명, 이 중 중국계만 78%다. 불법 체류자까지 합치면 중국인 비중은 더 치솟는다고 한다. 외모가 흡사하고 한국어를 쓸 줄 아는 조선족도 상당해 현장 선호도가 높아서다. 중국계 근로자 귀국이 2주 늦어진 충격이 이 정도인데 입국이 금지되면 어떨까. 건설현장이 패닉에 빠질 것이다.

미국처럼 중국인 입국을 전면 금지하자는 여론이 들끓었던 이달 초에 가장 긴장했던 산업 중 하나도 건설이었다. 정부가 후베이성 방문자에 한해 입국을 제한하면서 한숨 돌렸지만 국내 확진자 수가 늘고 사망자라도 발생한다면 중국계 인력이 아예 끊길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대체인력을 충원할 동남아 등지의 코로나 확산세도 만만치 않은 점까지 고려하면 외국인 근로자의 7∼8할이 끊기는 대재앙이 올 수도 있다. 철근가공, 파일, 거더 등 주요 건자재공장들도 마찬가지다.

건설ㆍ건자재산업의 외국인 의존도를 낮출 대안은 없을까? 스마트팩토리와 같은 생산공정의 자동화ㆍ무인화가 해법이지만 기술적으로 갈 길이 멀다. 일자리 감소를 우려한 노조 반발도 변수다. 조금 더 현실적 대안은 현장시공을 줄이고 자동화된 공장의 사전제작 비중을 늘리는 PC공법, 모듈러공법이 꼽힌다. 올해 공공공사 모듈러 조달비중 목표를 40%로 잡고 50여 공공 모듈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싱가포르만 해도 동남아에서 외국인력 의존도가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다. 모듈러공법은 중국 우한 일대 병원을 열흘여 만에 공급한 일석이조의 기술이기도 하다.

반면 국내에서는 걸음마 단계다. 국토교통부와 LH,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이 R&D과제와 시범사업을 통해 육성 중이지만 속도가 아쉽다. 공공 모듈러단지만 해도 부산 용호, 천안 두정, 서울 가양, 옹진 백령 등 손에 꼽을 정도다. RC(철근콘크리트)공법 대비 높은 단가가 숙제다. 민간으로 확산하려면 규모의 경제와, 이를 지원할 공공의 마중물 역할이 절실하다. 발주기관 담당자들이 감사 등을 의식하지 않고 조금만 더 모듈러 발주를 소신있게 결단하는 적극행정의 분위기와 이를 든든히 뒷받침할 범정부 차원의 법제도 기반 마련이 필수란 게 업계의 한목소리다.

 

김국진 산업2부장 jinny@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