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NS(사회관계망서비스)가 급격히 진전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나 유튜브를 통한 정보가 빠르게 확산 중이다. 부동산 시장을 놓고도 의견이 다양하다. 단순히 ‘오른다’가 아니라 ‘어디 어디는 바로 사야 한다’는 논리를 설명하기도 한다. ‘부동산 폭락론’도 줄기차게 등장한다. 여기에도 각종 통계와 사례 등을 묶은 분석이 곁들여진다.
자칭, 타칭 부동산 스타강사들의 유료 강의, 집단 현장 방문에도 많은 사람이 모여든다. 소위 재야의 고수뿐 아니라 유명 연예인도 부동산 유튜버로 활동이 목격되기도 한다. 이들은 소위 부동산 인플루언서(influencer)다. 영향력이 큰 인사가 됐다. 이들의 말 한마디가 시장을 움직일 만한 파괴력을 엿보인다. 일부 유튜버는 정부 정책이 발표된 후 수 시간 내에 핵심을 뽑아낸다. 문제점과 부작용도 그야말로 ‘핀셋’으로 꼬집기도 한다. 틈새도 금방 찾아낸다.
그럼에도, 정부나 시장 전문가들은 유튜브를 비롯한 부동산 관련 SNS 공간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불명확한 정보의 범람이 불안심리를 자극하거나, 투기를 부추기는 요소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시세 조작 가능성이 지적되기도 한다.
더욱이 이들은 영향력에 비해 책임은 별로 없다. 투자든 투기든 실수요든 개인적 판단에 의한 거래이다 보니 그렇다. 일부 탈법적 요소가 나타나는 일도 있지만, 이렇다 할 제재장치도 없다.
신뢰성도 의문이다. 대부분 개인적 의견이나 분석 수준이기 때문이다. 폭락론, 폭등론 등이 대표적이다. 특정 사안이 생기면, 이에 대한 득실이나 변수, 영향, 전망 등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나 검증보다는 ‘이렇게 된다’의 단정적 표현이 대다수다. 이래야 이를 보는 사람이 더 많아진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럼에도, 국민들은 정부의 말보다 유명 유튜버의 분석을 더 신뢰하는 듯하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그만큼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허점이 많다는 의미”라며 “시장의 생리와 흐름을 외면한 정부 대책은 결국 이들이 더욱 왕성하게 활동하는 공간을 제공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올 들어 정부는 분양과 거래시장에 대출 규제, 자금 조달 계획 등을 더욱 꼼꼼히 살피는 중이다. 이번 주부터는 상설조사팀을 통해 편법 증여, 대출규제 미준수, 이상 거래를 촘촘하게 들여다볼 예정이다. 집값 담합, 불법 전매 등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수사를 예고했다. 가격 상승지역에 대한 규제도 검토 중이다.
이를 두고 SNS 상에서는 “일련의 정부 정책이 시너지를 내면서 결국 집값은 내려갈 것”이라거나 “정부가 공급 규제 등으로 집값을 올려 놓고, 또다시 규제로 집값을 내리려는 혼돈의 주택정책”이라는 등 의견이 분분하다. 정부 정책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나 시장의 불안정성이 여전하다는 방증이다.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