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사설] 건설인 국회진출 늘어나길 기대한다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0-02-19 07:00:08   폰트크기 변경      

 4ㆍ15 총선을 앞두고 여야 각당의 공천작업이 한창이다. 그만큼 21대 국회에 진출하려는 건설업계 인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지역구를 노리고 개별적으로 각당의 예비후보로 등록하는가 하면 직능대표 진출을 위해 단체 차원에서 비례대표 배출을 모색하기도 한다. 건설인으로 분류되길 희망하는 공직자 출신들도 대거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기존 의원(박덕흠ㆍ김현아)들이 당내 공천과 본선을 위해 애쓰고 있다. 관료 출신(송석준ㆍ맹성규ㆍ강길부 등)들도 21대 진출을 위해 표밭을 갈고 있다. 21대를 노리는 건설관련 신진 인사들도 많다. 문헌일 전 엔지니어링협회 회장 등 수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하거나 출마를 선언했다. 첫 도전에 나선 공직자 출신(김경욱ㆍ정일영)도 있다. 그런가하면 건설기술인협회는 건설기술인을 각당의 비례대표로 추천하기 위한 막바지 절차를 밟고 있다.

 건설인의 국회 진출이 늘어난다 하더라도 국회 전체 300명 정원을 감안할 때 많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건설 출신 국회의원이라는 기댈 언덕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매우 크다. 가령 여야 간 첨예한 대립이 없는 법안들은 법안소위에서 통상 합의로 처리된다. 즉 소위 위원 중 한명만 강하게 반대해도 그 법안은 통과가 어렵다는 이야기다. 통과시킬 때도 마찬가지다. 의원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나서느냐에 따라 법안의 운명이 달라진다. 건설출신이 국토위나 기재위, 정무위, 행안위, 환노위 소위에 배치되면 법안이나 정책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국회나 당에서 중요직을 맡게 되면 목소리가 높아져 건설산업을 둘러싼 각종 규제 개선에도 적극 나설 수 있다.

 건설인의 국회 진출은 비단 건설산업만을 위한 것도 아니다. 경제발전은 물론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의 시각에서 각종 국가정책을 들여다보고 평가해야 할 때도 많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한 정치논리에 밀려 건설산업이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막아야 한다. 21대 국회에 건설인 출신이 많이 진출하길 기대한다.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