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수해 복구와 예방 이야기가 자취를 감췄다. 지난 광복절 이전까지만 해도 정치권과 정부는 앞다퉈 수해 현장으로 달려가 복구 일손을 도왔다. 여야는 당장이라도 항구적 수해 예방대책 마련에 나설 것처럼 호기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주 초부터 중앙 언론에서 수해 관련 뉴스는 사실상 사라졌다.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토교통부가 수해와 관련해 그 흔한 브리핑 한 번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역 신문에 피해지역 지자체와 주민들이 정부와 수자원공사를 향해 피해 보상을 촉구했다는 단신들만 간간이 보일 뿐이다.
지금 수해지역은 갑작스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복구인력 투입에 차질을 빚고 있다. 한 사람의 일손이 아쉬운 시기임에도 집단감염 발생 가능성이 수해복구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역대급 최악의 장마 피해에 코로나 재확산이 겹쳐 전 국민이 이중고를 겪는 상황이지만 방역 수칙을 준수하면서 빠른 시간 내 복구할 수 있도록 관계 당국이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정부가 지난주까지 잠정 집계한 호우 피해액은 1조원을 넘겼다. 정부는 새로운 추경을 편성하지 않아도 기정예산과 예비비 등을 통해 충분히 복구가 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이번 홍수의 근본 원인은 기후변화에 있다. 앞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예기치 못한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홍수에서 지적됐던,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로 나눠져 있는 물관리 문제부터 매듭지어야 한다. 또한 여러 기관으로 나눠져 있는 댐관리도 효율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홍수 피해를 키운 지류ㆍ지천 정비도 연차별 계획을 세워 속히 시행해야 한다. 우선은 환경부가 이번 홍수 때의 수자원 관리에 대한 조사 결과부터 내놔야 한다. 4대강 사업 영향도 가감없이 진단해 장점은 살려 나가야 한다. 전체 예산의 0.5% 수준에 불과한 치수 관련 예산도 내년엔 적어도 1% 정도로 올려야 한다. 올 여름 물폭탄에 놀란 중국과 일본은 벌써부터 SOC에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