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지역별 시설물 모니터링… PDA로 낱낱이 검색 · 저장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09-07-27 10:42:32   폰트크기 변경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80~90%가 직간접적으로 공간정보와 관련이 있을 만큼 공간정보의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 선조들은 대동여지도를 필두로 공간정보를 종이에 표현해 활용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1990년대 중반부터 정부에서는 종이 지도로 만들어진 아날로그 시대의 공간정보를 첨단 IT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화하는 작업을 시작으로 공간정보 기술개발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이후 디지털로 변환된 공간정보는 다양한 공간 정보 응용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시설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최근에 정부에서는 이러한 각 응용 부분별 또는 기관별로 구축된 공간 정보와 응용 시스템을 상호 연계・통합해 시너지 효과를 제고하는 동시에 이종 기술과 공간정보의 융・복합을 통해 공간정보의 지능화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공간정보의 지능화를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사업단장 김병국 인하대 교수)의 일환으로 GIS 기술/데이터와 USN 기술/데이터의 융・복합을 지원할 수 있는 u-GIS 융합 엔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3차원 공간정보와 웹의 만.

 공간정보의 지능화를 위해 기존 공간정보 기술의 업그레이드뿐만 아니라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실시간 지오센서(GeoSensor) 정보들과 공간정보와의 융합기술 개발, 그리고 공간-센서 융합정보에 대한 실시간 분석 및 상황인식을 통한 의사결정지원 기술로 이루어진 u-GIS 융합엔진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관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Green IT와 연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로 설치돼 있는 고정식 및 이동식 환경오염 측정 센서노드를 이용해 실시간 변화하는 지역의 오염 정보를 수집하고 공간정보와 연계해 분석, 사용자에게 웹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환경 모니터링 응용 서비스에 이러한 u-GIS 융합 엔진 기술이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또 수중 지형 데이터와 실시간 수집되는 수중의 센싱정보를 융합해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기 위한 수중 모니터링 서비스, 시설물에 설치된 센서노드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센싱정보를 시설물도와 융합 분석하고 도시하기 위한 시설물 모니터링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시 환경에 대규모로 설치된 다양한 이기종의 센서노드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해 공간정보와 융합・분석하고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u-City 응용 서비스 등의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u-GIS 융합 엔진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u-GIS 융합엔진 개발을 위해 공간정보와 지오센서정보로 이뤄진 u-GIS 공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기술과 u-GIS 공간정보 융합 분석 기술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u-GIS 공간정보 저장관리 기술분야에서는 기존의 2차원 중심의 공간정보 저장・관리 기술을 확장해 3차원의 시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 관리할 수 있는 기술과 스마트폰 또는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3차원의 공간정보를 저장, 검색,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그리고 다수의 지오센서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센싱정보를 저장, 검색, 관리하고 이들 센싱정보를 공간정보와 연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기존의 2차원 중심의 공간정보 저장관리 시스템은 평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X, Y를 중심으로 공간정보를 관리하는 데 반해 3차원 공간정보 저장관리 시스템은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X, Y 외에 높이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한 다차원의 시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DBMS를 사용하고 있듯이 대용량의 다차원 시공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서버 기반의 다차원 시공간 DBMS가 필요하며, 유비쿼터스 환경의 모바일 단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용 시공간 DBMS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USN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적인 형태의 공간정보에 동적인 지오센서 정보를 실시간 연계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영역에 펼쳐있는 지오센서 노드를 통해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대용량 스트림 형태의 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취득・검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공간정보 기반의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도 병행해 개발하고 있다.

 u-GIS 공간정보 융합 분석 기술 분야에서는 u-GIS 공간정보 저장관리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u-GIS 데이터를 자유롭게 검색하기 위한 u-GIS 융합질의처리 기술 △추출된 u-GIS 데이터를 분석하고 새로운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술 △u-GIS 정보 및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u-GIS 상황인식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지오센서 서버 등 상품화.

 이번 연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인하대, 건국대, ㈜지오매니아, ㈜리얼타임테크, 네이버시스템㈜, ㈜센싱맵 등 국내 공간정보 관련 최고의 산・학・연 컨소시엄이 연구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개발 시작 시점은 늦었으나 점차 가시적인 연구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올해 6월 종료된 1단계 연구에서는 SCI급 논문 2편을 포함 국내외 논문 60편, 국제・국내 특허 10건 출원과 GeoSensor Edge 서버 등 4건의 연구 시제품을 개발했으며 상용화를 위해 다수의 기술이전 실시계약을 체결했다..

 현재는 2단계 연구 개발과 병행해 1단계 연구결과물의 단위 시스템별 상품화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협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 ㈜리얼타임테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본부로부터 개발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메인메모리기반 3D DBMS 제품화에 필요한 지원사업 수주 등 1단계 결과물에 대한 단위 시스템 위주의 상품화와 시범사업 적용 등 다양한 레퍼런스 사이트 구축을 통해 결과물의 우수성 및 안정성 제고에 집중하고 있다. 이후 2단계 종료 시점에서는 최종 결과물인 u-GIS 융합 엔진의 통합 상품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세계 공간정보 S/W 시장 선.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인 IDC의 2008년 발표에 따르면 공간정보관리소프트웨어 시장은 향후 5년간 매년 12.5% 성장하여 2012년 5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국내의 경우는 국토해양부에서 2012년 11조원 규모로 전체 공간정보 시장을 예측하고 있으며, 공간정보 S/W 시장의 경우는 2012년 2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T 선진국으로 우리나라의 위상은 세계적 수준이나 아직 공간정보 분야의 해외 기술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하고 있는 u-GIS 융합엔진 기술 개발을 통해 향후 공간정보관리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 확립과 세계 진출을 통한 기술 선도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주완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텔레매틱스연구부 팀장.

공동기획: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건설경.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