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연구기관 리포트> 한국에서 노벨과학상이 나오지 못하는 이유는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14-07-14 17:10:00   폰트크기 변경      
국내 톱 틀래스 연구자 수준, 노벨상 수상자의 16.6%에 그쳐
 작년 말까지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등 3개 부문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는 총 566명이다.

 미국에서만 절반에 가까운 248명(43.8%)이 나왔고 이웃나라 일본도 16명을 배출하며 아시아권 국가 중 가장 높은 7위에 올랐다. 인도와 중국도 각각 2명씩의 수상자를 낸 반면 IT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아직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없다. 왜일까?

 정부 각 부처들로부터 국가 연구개발(R&D)사업을 위임받아 관리하는 11개 기관의 모임인 ‘연구관리혁신협의회’가 최근 개최한 3차 기관장 회의 및 공동세미나에서 이에 대한 해법을 포함해 R&D사업의 향후 발전방안 및 과제들이 집중 논의됐다.

 113년 노벨과학상 수상자 분포는

 한국연구재단(안화용 성과확산실장)이 회의에서 발표한 ‘노벨과학상 현황 분석 및 우리의 대응방안’ 보고서를 보면 1901년 신설된 후 작년까지 113년간 노벨과학상 3개 부문 수상자는 물리학 196명, 화학 166명, 생리의학 204명을 합쳐 566명이다.

 국가별 배출 인원은 미국이 248명으로 수위이고 영국(77명), 독일(65명), 프랑스(32명), 스웨덴·스위스·일본(각 16명), 러시아(15명), 네덜란드(14명), 오스트리아(10명)를 합쳐 10개국이 10명 이상의 수상자를 낳았다. 특히 아시아권에서는 일본이 물리학 7명, 화학 7명, 생리의학 2명을 합쳐 16명을 배출해 7위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수상자가 나온 국가는 28개국에 머문다.

 아시아권에서는 일본에 이어 인도가 물리학과 화학에서 각 1명씩, 중국이 물리학에서만 2명을 보유했다. 최근 트렌드를 가늠하기 위해 수상자 배출현황을 최근 30년과 10년으로 다시 구분하면 미국의 초강세와 일본의 급부상이 눈에 띈다. 최근 30년간 수상자 207명만 놓고 보면 미국의 점유율은 55.1%(114명)로 치솟고 일본은 5.8%(12명)의 비중으로 독일(18명), 영국(17명)에 이은 4위로 뛰어오른다. 10년(총 72명)간 노벨과학상 수상자 숫자 면에서는 7명을 배출한 일본은 9.7%의 점유비율로 미국(36명, 50.0%)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영국·프랑스(각 6명, 8.3%)와 독일·이스라엘(각 4명, 5.6%)마저 제쳤다.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남초현상도 두드러졌다. 97.5%가 남자였고 여자는 물리학 2명, 화학 3명, 생리의학 9명을 합쳐 단 13명(2.47%, 마리 퀴리 중복수상 1903년 물리학상·1911년 화학상)에 머물렀다.

 국내 톱 연구자 수준은 노벨상급의 16.6% 그쳐

 국내 톱 클래스 연구자들의 연구 수준은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16.6%에 머문 것으로 평가됐다. 노벨과학상 수상자는 2000년 이후 수상자 중 논문검색이 가능한 102명을 선별했고 국내 톱 클래스 연구자는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의 피인용 상위 0.1% 연구자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단장을 중심으로 논문검색이 가능한 72명을 엄선해 비교했다.

 재단이 세계적 논문 피인용 건수 등을 지수화한 지표를 통해 2개 그룹을 비교한 결과로는 국내 연구자 72명 중에 상위 40% 이내에 드는 S(2771점 이상)~A(1460점 이상)급은 아예 없었다. 41~60%의 중위권인 B급이 10명, 61~80%의 C급이 26명, 하위 20%인 D급이 36명으로 대부분 중하위권에 분포했다.

 노벨과학상 부분별 한국 상위연구자의 노벨과학상 수상자 대비 연구수준을 보면 물리학이 35.4%(수상자 평균 765점 대비 한국 연구자 평균 271점), 생리의학이 16.3%(2334점 대비 381점)였고 화학의 경우 10.6%(2334점 대비 381점)에 머물러 세계 수준과 격차를 드러냈다.

 재단이 꼽은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특징은 30~45세에 탁월한 연구업적을 내고 그로부터 15~17년 후에 노벨상을 받으며, 그 이전에 울프상, 라스커상 등을 먼저 수상했다. 또 40세 이전에 미국 과학아카데미, 독일 과학아카데미, 영국왕립학회 등의 세계적인 학술단체의 정회원이 됐고 사제간의 공동연구에 따른 공동수상이 늘어나는 추세도 뚜렷했다. 한마디로 평균 32.7세에 수상 주제의 연구를 시작해 42세에 완성한 후 17년이 지난 시점에 수상하는 코스를 밟았지만 한국 연구자 중에 이에 부합하거나 가까운 이들도 드물다는 게 재단의 분석이다.

 노벨상 관련 저널·준노벨과학상부터 공략하라

 재단은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벨과학상에 버금가는 울프상, 라스커상부터 공략할 것을 조언했다. 물리학과 화학 분야에서 노벨상 다음으로 명성을 자랑하는 이스라엘 울프상(1978년 시작)의 경우 수상자의 평균 30%가 수상 5년 후에 노벨과학상을 거머쥐었다.

 의학 분야에서는 미국의 라스커상(1946년 시작) 수상자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라스커상 기초의학상 수상자 중 50.3%가 평균 4.6년 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할 정도다.

 이에 더해 논문 인용빈도 상위 0.01%는 기본이다. 특히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이 선호하는 미국국립과학회보(PNAS), 사이언스, 네이춰, 셀 등에 대한 논문 게재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이에 더해 노벨 심포지엄 초청 경력도 중요하다.

 대학의 연구지원도 중요하다. 노벨과학상 수상자 566명 중 75.3%(426명)가 대학에서 배출됐고 연구기관(19.4%, 110명), 기업(3.55, 20명) 순이었기 때문이다.

 재단은 이런 경향을 토대로 과제가 아닌 사람에 대한 지원, 연구 자율성 보장, 장기적 지원, 연구자간 협력 증진, 탁월성 지향 등 5가지 연구지원 철학을 제시하고 SCI 피인용 상위 1% 중심의 성과목표 설정과 세계 수준의 선도 연구자 배출 노력, 젊은 인재에 대한 파격적 지원 등을 제언했다.

 최대한 빠른 기간에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위한 전략적 접근법으로는 노벨상 관련 저널의 집중적 공략에 더해 준노벨상 연구자와의 공동연구 지원 또는 수학(지도교수), 북유럽에 대한 우리 연구성과 사례 홍보 강화, 노벨상 후보 추천권자 포함 노력을 당부했다.

 재단은 최근 10년간 노벨과학상 수상자 배출 2위까지 오른 일본의 사례를 토대로 기초과학에 대한 지속적 투자와 평생에 걸쳐 한 우물을 파는 연구가 가능할 정도로 장인정신이 용인되는 문화적 풍토, 2001년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통해 향후 50년간 30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목표를 내거는 등의 전략적 접근법을 벤치마킹할 것을 주문했다.

 근본적으로는 남이 안하는 연구, 0.01% 연구자를 발굴, 육성하고 유대인식의 창의적 교육과 토론문화를 정착하고 신진연구자를 중심으로 노벨상 관련 저널·홍보·국제협력네트워크를 개척해야 한국의 국격을 높일 노벨과학상 수상이 가능하다고 재단은 조언했다. 

 국토교통 R&D·에너지 웨어하우스 제안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조대연 건설산업본부장은 이날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국토교통 R&D의 미래’란 주제발표를 통해 국토교통 분야 R&D의 기본전략을 ‘국민이 공감하는 창조적 국토공간 창출’로 잡고 창조적 국토공간 R&D에 더해 공공행복, 문화 융·복합, 시스템 통합 등 4대 R&D전략을 제안했다.

 창조적 국토공간 창출책으로는 창조도시, 도심 복합환승을, 공공행복 창출대안으로는 주거환경 개선과 교통 지·정체 해소를 위한 R&D의 역할을 강조했다. 문화 융·복합을 선도할 R&D과제로는 신한옥 건축을, 시스템통합 R&D과제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와 항공ATM을 제시했다.

 조 본부장은 “국토교통 분야 R&D의 최신 화두는 기민성, 복원성, 지속가능성, 복잡성, 상호협력이며, 이를 토대로 서로 뒤얽힌 창조적 공간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유영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박사는 ‘에너지 R&D 웨어하우스 구축’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최근 각광받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데이터 시각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R&D 웨어하우스 전략을 제시했다.

 그러나 기업 외부에서 빅데이터를 찾기 이전에 기업 내에 산재한 스몰데이터부터 수집, 관리하는 것이 우선이며, 가용 데이터 수준을 파악하고 데이터 분석인력과 시스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를 기반으로 R&D 성과를 시각화하면 보다 효과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유 박사는 기존의 R&D 과제별 기술수준 등을 정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에너지기술 R&D 이력지도를 신설하고 전략로드맵과 비교하면 신규 R&D 요소를 도출, 활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런 방식으로 태양광, 청정화력, 건물의 R&D는 물론 최근 부상하는 스마트그리드, 지능령 전력망 등의 지원과제 분석도 가능하며, 종합적인 이노베이션 로드맵을 작성해 R&D를 촉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R&D 기술사업화 지수·연구관리비 현실화도

 정재학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사업화정책팀장은 ‘R&D 기술사업화 지수 도입방안’을 내놓았다.

 정부 차원의 R&D 투자가 급증(2007년 9조5000억원→2012년 16조1000억원)하면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이 2배 늘고 기술료 수입도 1.6배 증가했지만 이들 기관의 기술사업화 수준을 비교, 분석할 객관적 지표가 미비한 점에 착안했다.

 정 팀장은 연구단계(기초·응용·개발연구)별로 기술·미래선도형, 공공인프라형, 연구교육형, 상용화형 등 4가지로 나눠 A~D의 등급을 매기는 방식을 제안했다. R&D 기술사업화 지수별 등급을 각 기관에 부여해 이를 홍보토록 하는 동시에 공공기관 경영평가 및 R&D 간접비 계상비율 등에 반영하면 R&D 경쟁을 유발해 국가적 연구역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동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규제개혁센터장은 ‘연구기획평가관리비 현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연구기획평가관리비는 연구관리전문기관별로 정부부처의 R&D사업 기획·평가·관리 등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경비다. 평가원의 분석 결과, 연구기획평가비는 물가 등의 환경변화에 비탄력적이어서 물가가 1.3% 오른 2013년에 연구기획평가비는 0.05% 감소했다. 게다가 관련 규정도 미비해 연구개발비의 5% 이내란 상한선만 존재할 뿐, 구체적 비용책정 방식도 없다.

 정 센터장은 “연구기획평가비 재원조달원을 정부 출연금으로 단일화하고 기관운영사업비란 독립항목을 신설해 제대로 된 연구결실을 도출할 사전기획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국진기자 jinny@

〈앞선생각 앞선신문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김국진 기자
jinny@c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