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연구기관 리포트> 자원순환사회 선도하는 시멘트산업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15-08-25 06:00:02   폰트크기 변경      
폐타이어부터 생활쓰레기까지 재활용
   
시멘트 소성로의 구조도


 “1990년대 들어 자동차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매년 발생하는 1200만개 이상의 폐타이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보관 장소가 모자라 방치됐고 파리, 모기 등 해충이 증식하면서 곳곳에서 수질ㆍ토양오염을 유발한 것. 구원투수로 등장한 이는 바로 시멘트업계였다. 1997년 쌍용양회가 영월공장에 폐타이어를 투입하는 설비를 준공해 재활용을 선도했고 이듬해 동양ㆍ한일ㆍ현대ㆍ아세아시멘트가 가세하면서 폐타이어 방치로 인한 환경오염 논란이 사실상 종식됐다.”

 시멘트산업이 재활용하는 폐기물은 이뿐이 아니다. 1990년대부터 화력발전소의 석탄재를 대체원료로 사용했고 2008년 8월부터 해양배출이 단계적으로 금지된 하수 및 공정슬러지 등도 재활용 대상이다. 주물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주물사, 제철소의 철질 부산물, 석회슬러지에 더해 합성수지 폐기물, 페고무류, 재생유, 폐목재까지 소중한 자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강릉시 등 강원권의 5개 지자체가 시멘트업계에 SOS(조난 신호)를 보냈다. 생활폐기물을 고형화한 연료인 SRF(solid refuse fuel)를 소성로의 연료로 사용해 달라는 요청이다. 시멘트업계가 이를 거절하면 급증하는 생활쓰레기 처리가 힘들어진다. 시멘트업계는 시멘트 제조에 필요한 발열량 면에서 기존 대체연료에 비해 불리한 면이 있지만 미래 세대를 위한 자원순환사회 구현을 위해 이런 요청을 수용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최대 걸림돌은 ‘쓰레기시멘트’ 논란으로 대표되는 시멘트 유해성 논란이다. 최고 섭씨 2000도의 소성로에서 폐기물이 완전 연소되므로 시멘트 성분에 미치는 악영향이 거의 없다는 실험 결과가 잇따랐지만 일각의 유해성 의혹이 부풀려지면서 산업 이미지와 자존심에 상처를 입는 사례가 되풀이됐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솔직히 우리 시멘트산업이 없다면 미래 세대를 위한 자원순환사회 실현도 불가능하다. 시민ㆍ환경단체의 인식도 최근 많이 바뀌었지만 검증되지 않은 의혹을 확산하는 이들이 여전해 곤혹스러울 때가 많다”라며 “우리 업계로선 자원 재활용의 불가피성과 시멘트의 무해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설득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길뿐이다”라고 말했다.

 환경부와 한국시멘트협회가 시멘트산업의 자원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최근 공동으로 개최한 ‘자원순환 촉진 1차 포럼’에서 발표된 주요 내용을 정리한다.

   
국가별 재활용 폐기물의 보조연료 사용률(출처 : 한국시멘트협회)


 시멘트업계 순환자원 재활용 현황은

 한국시멘트협회가 집계한 상위 7대 시멘트사의 작년 한해 재활용 원료 사용량은 751만t. 폐타이어, 폐합성수지, 페목재 등 재활용 대체연료 사용량도 136만t이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재처리한 후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을 극복하고 육지나 바다에 버려야 할 887만여t의 폐기물을 작년 한해 7대 상위시멘트사들이 짊어진 셈이다.

 재활용량도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국내 시멘트사들의 순환자원 재활용량은 2005년 1187만t이었지만 2007년 1431만t, 2010년 1424만t으로 주춤했지만 2013년 1710만t으로 불어났다. 반면 일본의 재활용량(2013년 3026만t)의 절반 수준에 머문다. 시멘트 1t당 순환자원 사용량만 비교해도 한국은 362㎏으로 일본(486㎏)에 못 미치긴 마찬가지다. 2013년 기준의 국내 시멘트사의 순환자원 대체율도 18%로 같은 해 독일(63%)의 4분의1에 그쳤다.

   
국가별 순환자원 재활용량 및 원단위


 시멘트산업의 순환자원 재활용을 활성화하려면 유해성 논란을 극복하는 게 선결과제다. 반면 시멘트업계 및 협회, 환경부 등 정부와 국책연구기관들의 다양한 실험에서 나온 무해하다는 실험 결과를 지역주민과 국민들에게 제대로 알리는 데 실패했다. 독일을 포함한 유럽 각국은 정부가 나서서 시멘트산업의 폐기물 재활용을 국가 폐기물정책의 핵심 수단으로 여기고 국민들을 설득하는 점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시멘트원료 사용비율
 시멘트업계는 재활용 원ㆍ연료를 다양하게 활용해도 시멘트의 주 재료는 천연광물인 석회석이며, 이를 콘크리트로 시공하면 유해물질이 용출하지 않는다고 항변한다. 이날 세미나에서 공개된 H시멘트사의 원료 사용 비율만 해도 석회석이 88∼89%. 점토질과 경석을 대체한 플라이애쉬(5.0∼6.0%), 폐주물사(1.0∼2.0%)와 철광석을 대신한 철질 부산물(1.5∼2.5%), 석회석을 일부 대체한 석회슬러지 등 기타 재료(1.5∼3.5%)의 비중은 10% 내외에 머물렀다. 나머지 시멘트사들의 제품 함량도 다르지 않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유해성 여부 실험 결과는

 시멘트의 무해성은 이미 충분히 검증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추가로 나온 실험 결과도 다르지 않다. 한국콘크리트학회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가 공동으로 수행한 ‘다양한 환경 하의 콘크리트 중금속 거동’ 실험 결과를 보면 시멘트 내 중금속 함량은 일반 토양 수준을 밑돌았다. 심지어 중금속 규제기준이 까다로운 것으로 정평이 난 어린이용품과 화장품의 기준치와도 대등했다.

 3개 시멘트사 제품을 통상적 업계 배합비로 콘크리트화한 후 염해, 동결융해, 탄산화 실험(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의뢰)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중금속 용출이 전무했다. 1990년과 2004년 완공된 건축물의 시료(강원도 영월군 수몰예정 마을)까지 채취해 중금속 용출시험을 한 결과에서도 납,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검출은 전무했다.

 6가크롬만이 환경부의 자율관리기준치(1ℓ당 20㎎)을 훨씬 밑도는 0.05㎎과 0.02㎎ 나왔을 뿐이다. 학회는 시멘트 유해성 논란을 증폭시켰던 금붕어 폐사실험도 병행했고 그 결과 폐사의 주된 원인이 강알칼리성의 콘크리트 특성 탓이란 점을 입증했다. 강알칼리성에 힘입어 함께 시공되는 철근부식이 방지되는 점을 간과한 오해란 게 학회의 결론이다.

   
시멘트 제조공정도


 순환자원 재활용 활성화 방안은

 이날 포럼 참석자들이 한결같이 강조한 대안은 지역주민ㆍ국민들에 대한 설득 노력과 불필요한 의혹을 일소할 시멘트업계 스스로의 투명성 제고 노력이었다.

 시민단체 쪽의 포럼 참석자는 “유해성 논란을 증폭시킨 후에야 발을 동동 구르면서 뒷북 대응에 나서는 악순환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했고 다른 전문가는 “폐수ㆍ오수처리만 해도 일반 국민들은 시멘트사들의 재료비 절감 방편으로만 인식하고 있는데, 시멘트사들은 이를 그대로 방치했다. 앞으로는 대외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하고 적극적으로 국민들을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멘트공장의 친환경적 관리 노력을 토대로 공장 인근지역의 주민들부터 설득해 나가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정부로부터 ‘시멘트공장 주변지역의 환경조사와 관리방안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박영구 강원대 교수는 주요 시멘트공장 주변지역의 조사 경험을 토대로 “시멘트사들이 원재료와 제품의 관리만 철저히 해도 지역주민의 민원을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미세먼지 문제만 해도 석회석 광산의 착암ㆍ발파과정은 물론 하역, 수송, 야적과정에서 방진망, 방진벽 설치 등의 관리업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민원을 자초한 면이 있다는 지적이다. 시멘트 분진 탓으로 단정하긴 어렵지만 공장 인근 지역주민들의 호흡기 장애, 소화기 질병, 피부질환 등이 잇따랐고 결국 스스로 의혹을 만든 셈이란 비판이다.

 박 교수는 이를 근거로 시멘트산업의 생애주기 차원의 유해인자의 노출도를 평가하고 지역주민의 보건ㆍ건강을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일례로 시멘트사들이 지자체와 연계해 공장별로 최소 연간 2회 정도 환경오염물질 분석을 실시하고 2∼3년에 1번씩 외부기관에 환경영향조사를 의뢰해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지역주민들에게 고지하면 불필요한 오해와 민원을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나아가 지역주민에 대한 종합적 환경보건 감시체계와 사전예방적 환경보전 정책도 마련해야 지역의 불신, 나아가 국민적 불신을 벗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이에 공감하면서 특히 대국민 설득을 위한 산업계, 정부 차원의 홍보전략 내실화를 주문했다. 시멘트사 내부의 사업별 팀 순위를 매길 때 홍보 담당부서의 경우 거의 최하위권에 머문다. 심지어 홍보팀도 없이 한두 명의 담당자가 다른 업무와 병행하고 있는 곳도 상당수다. 시멘트사 오너와 경영진들이 기업, 나아가 산업 홍보의 중요성을 깨닫지 않는 한 ‘쓰레기 시멘트’ 논란의 악몽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고 자원순환사회 구현을 위한 시멘트업계의 노력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 업계의 중론이다.

 제공=자원순환촉진 포럼

 정리=김국진기자 jinny@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김국진 기자
jinny@c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