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형 서점을 둘러보다가 놀랐다. 베스트셀러 진열장에서 ‘주식투자 가이드’ 책을 발견한 것이다. 특정 금융투자 방법에 대한 책이 베스트셀러가 된 것은 예삿일이 아니다. 재테크 광풍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 같다.
주변 또래 지인들을 보면, 이 정도로 재테크에 관심 있던 적이 있었나 싶다.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에 투자하는가 하면, 주식에 돈을 넣기도 하고, 달러나 금에 투자하는 친구도 늘었다. 레버리지를 통한 수익률을 계산하고, 세율도 꼼꼼히 따진다. 다들 전문투자자라도 된 것 같다.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이 한 몫했다. 내 돈을 어딘가에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다. 야박한 금리가 전국민을 전문투자자로 양산시키고 있다.
이들의 관심은 20조원 규모의 ‘뉴딜펀드’에 쏠리고 있다. 3∼4%대 수익률의 원금보장을 추구하는 이 상품은 3억원 한도로 5%대 저율과세까지 적용된다. 예ㆍ적금 금리가 1%대인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자금을 굴리고 싶은 투자자들에 적합한 상품이다.
과연 이런 금융투자상품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을까. 고수익에는 고위험이 따르고, 저위험을 추구한다면 저수익에 만족해야 한다. 저위험 중수익이 가능하다니, 믿기지 않는다.
현재 펀드에 담을 자산도 확정되지 않았다. 편입 자산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수익률만 확정하는 게 가능한가. 자산에 맞춰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식이 아닌, 수익률에 맞춰 대형(20조원대) 자산을 편입하는 건 들어본 적도 없다.
당ㆍ정측은 ‘원금보장’이 아닌, ‘원금보장 추구’라고 말한다. 이것 역시 아주 애매하다.
원금보장을 추구한다고 치자. 펀드에 손실이 발생한다면, 정부가 보전해주는 구조일까. 정부 보전은 혈세다. 우리의 돈으로 메우는 셈이다.
정부가 보전하지 않아도 문제다. ‘원금보장 추구’를 믿고 투자한 국민들이 손해를 본다면, 그 불만을 정부가 감당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이쯤 되면 정부의 의도가 궁금하다. 국민의 재산증식을 바라는 건가. 아니면 뉴딜 사업의 재원이 부족한건가. 혹여,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으로 흘러가는 걸 막기 위한 궁여지책은 아닐까.
기자의 괜한 의구심과 억측이 억울하다면, 뉴딜펀드를 꼼꼼하게 설계해 전국민의 주머니를 두둑하게 만들어주면 될 일이다. 그게 가능하다면 말이다.
홍샛별기자 byul0104@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