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 부지를 배경으로 북항재개발이 갖는 의미와 동구 발전 방향을 설명하고 있는 김진홍 부산 동구청장. /사진: 부산 동구청 제공 |
“북항재개발 사업이 완료되고 2030엑스포 부산 유치가 성사되면 그 파급효과를 동구 원도심 개발로 연결시키는 게 동구청장의 핵심 과제입니다.”
김진홍 부산 동구청장은 21일 e대한경제와 가진 인터뷰에서 2030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동구에 갖는 의미를 이같이 설명한 뒤 “향후 10년간 부산 동구의 최대 발전 동력은 2030엑스포 유치와 북항재개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30엑스포 유치와 북항재개발, 원도심 발전 등은 부산 동구의 미래를 설명하는 키워드다. 엑스포 부산 유치가 확정되면 그 행사 장소가 현재 재개발이 한창인 북항이고, 북항 내륙 쪽에 동구 원도심이 있어 연계발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30엑스포는 과거에 치러진 대전 및 여수 엑스포와 같은 ‘인정박람회’가 아니라 격이 한 단계 위인 ‘등록박람회’다. 개최지는 내년 1분기에 국제박람회기구(BIE)의 후보지 현지 실사가 이뤄진 뒤 내년 11~12월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로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러시아 모스크바, 이탈리아 로마, 우크라이나 오데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등이 유치신청서를 냈다.
북항의 입지적 특징은 KTX부산역과 가까이 있어 유라시아대륙으로 진출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동·남해안 관광벨트의 중심축 상에 위치해 해양관광의 거점이기도 하다.
김 청장은 북항재개발이 완료되면 2030엑스포 개최와 맞물려 동구가 부산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격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주무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음은 김 청장과 가진 일문일답.
북항재개발 사업 추진 현황은 어떠한가?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은 올해말까지 기반시설 조성을 끝내고 내년부터 건물 착공에 들어간다. 2단계 사업은 내년부터 해안 매립에 들어가 2030엑스포 전에 건물까지 완공돼야 한다. 2단계 사업 부지 중에는 미군부대 물자가 들어오는 美55보급창 부대가 포함돼 있다. 부산엑스포가 개최되면 미군부대는 2030년 전에 이전이 된다. 이는 엑스포가 개최되면 부산시의 숙원사업인 미55보급창 이전과 가덕신공항 건설이 동시에 해결된다는 의미다.”
2030엑스포가 유치되면 북항이 개최 예정지인데, 북항재개발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갖는 의미는?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 구역에 유엔의 해비타트에서 세계 최초로 해상도시 건설이 포함돼 있다. 약 2만명 정도가 정주할 수 있는 해상도시를 북항 해역에 만드는 것이다. 육상의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같은 재해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해상에서도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실험을 이곳에서 하는 것이다. 엑스포 주제가 ‘기후변화 시대에 앞으로 나아갈 방향’ 이라는 취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엑스포 개최와 연계해서 추진하는 것이다. 이번 엑스포 개최의 핵심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 조감도 앞에서 북항재개발이 갖는 의미와 동구 발전 방향을 설명하고 있는 김진홍 부산 동구청장. /사진: 부산 동구청 제공 |
2030엑스포와 북항재개발 추진 과정에서 동구청장의 역할은?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에선 해양수산부가 국비를 투입해 바다를 매립한 뒤 매립지를 민간에 매각해 막대한 개발이익을 남겼다. 이걸 동구 원도심에 재투자를 해줘야 하는데 그런 제도적 장치가 없어 국가가 그대로 가져가게 됐다.
반면 북항재개발의 영향으로 해안 쪽에 고층 건물들이 들어서니 건물 뒤편에 있는, 산복도로(山腹道路)를 끼고 있는 원도심 주민들로선 천혜의 북항조망이 막혀버렸다. 스카이라인을 완만하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데, 도시계획이 잘못된 것이다. 원도심 주민들로선 엄청난 불만사항이다. 이렇게 해선 상생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북항재개발 2단계에서는 매립지 매각 이익을 원도심에 재투자하기로 사업계획에 포함시켰다. 1단계에선 부산시도 사업주체로 참여를 못했는데, 2단계에선 부산시 주도로 부산항만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 부산도시공사 등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면서 그게 가능했다.”
원도심 재투자는 어떤 방향으로 구상 중인가?
“원도심에 녹지축을 조성할 생각이다. 고층 건물들이 원도심 주민들의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건물과 건물 사이에 녹지축을 만들어 그곳에는 건물을 못 짓도록 하는 것이다. 원도심 주민들에게 최소한의 조망권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일종의 통경축(通經軸)이다. 북항재개발 이익 중 약 7000억 원을 투자해 부지를 매입한 뒤 원도심 주민들에게 되돌려준다는 의미가 있다. 그래야 상생발전이 가능한 것이다. 제가 시의회에 있을 때부터 주장했던 내용이다. 건물 사이에 남아 있는 공간들을 매입해 녹지축을 만들면 수정축, 초량축, 좌천축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북항재개발사업 현장 항공사진.(부산 동구청 제공) |
녹지축 조망권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주민들을 위한 상생발전 방안은?
“산복도로 주변 주민들은 천혜의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해 수십년 동안 고도제한구역으로 묶이는 규제를 받아왔다. 높은 건물을 못 짓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 눈 앞에 고층건물들이 들어서서 시야가 막히는 지경에 이르니 몇 십 년 동안 지붕도 손 못대고 살아온 주민들로서 허탈감이 엄청나다. 그래서 지금 요구하는 게 고도제한을 풀어달라는 것이다. 그게 현안이 돼 있다. 구청장으로서 부산시와 협의해 해결책을 찾고 있다.”
북항재개발사업 조감도.(부산항만공사 제공) |
동구를 가로지르는 철도는 그대로 둘 것인가?
“부산역에서 부산진역 사이의 지상 철도가 동구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도심을 양분하고 있다. 동구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철도를 걷어내야 명실공히 동구 원도심과 북항이 하나로 합쳐진다. 2030 엑스포가 개최된다면 이 철도를 지하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지상에 부지가 확보되면서 북항과 원도심이 연결된다. 엑스포 개최가 확정되면 철도 지하화 문제도 같이 공론화해야 한다.”
권혁식기자 kwonhs@
〈ⓒ e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