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박흥순 기자]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9년만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4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애플페이는 국내 카드사와 수수료를 두고 이견을 보이며 도입을 수차례 미뤘으나 현대카드가 앞장서 애플의 손을 잡으면서 국내 서비스가 시작됐다.
![]() |
애플은 21일 서울 용산구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에서 ‘스페셜 이벤트’ 기자간담회를 열고 애플페이의 국내 서비스 출시를 선언했다. /사진:박흥순 기자 |
애플은 21일 서울 용산구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에서 ‘스페셜 이벤트’ 기자간담회를 열고 애플페이의 국내 서비스 출시를 선언했다.
던킨 올비 애플페이 인터내셔널 총괄은 “오늘부터 한국에서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애플의 목표는 쉽고 안전하면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부터 아이폰과 현대카드를 보유한 이용자는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근거리무선통신’(NFC) 단말기가 갖춰진 매장에서 실물카드 없이 휴대전화로 간편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아이폰을 보유했더라도 현대카드를 발급받지 않으면 당분간 애플페이를 이용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현대카드가 애플페이의 국내 출시를 위해 독점적인 지위를 포기했지만 현재까지 현대카드 이외에 애플과 제휴된 업체가 없어 당분간 현대카드 보유자만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의 손을 잡은 현대카드는 결제건당 0.1~0.15%의 수수료를 애플에 지급하고, NFC 규격과 국제결제표준인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 비접촉결제기술을 사용하는 대가로 건당 1%의 추가수수료를 내야할 전망이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오늘은 한국 페이먼츠(결제)에 이정표가 되는 날이다”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EMV 결제 기술이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날이고 또 단말기 중 가장 발달된 형태의 NFC 단말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날”이라고 말했다.
▲애플페이,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나
이날 간담회에서 애플이 공개한 애플페이 지원 단말은 △아이폰6 이후 모델 △애플워치 1 이후 모델 △2012년 이후 출시된 맥 △터치·페이스 아이디를 지원하는 아이패드 등이다. 이 중 아이폰은 온라인 결제와 오프라인 결제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맥과 아이패드는 온라인만 지원한다. 반면 애플워치는 오프라인 결제에만 활용할 수 있다.
![]() |
애플워치를 이용해 결제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박흥순 기자 |
현재까지 알려진 애플페이 사용 가능 매장은 △롯데백화점 △롯데쇼핑 △롯데마트 △롯데리아 △배스킨라빈스 △파리바게뜨 △홈플러스 △코스트코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빽다방 △엔제리너스 △메가커피 △할리스 △폴바셋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맥도날드 △KFC △다이소 △교보문고 등으로 주로 대형 식음료 프랜차이즈에 국한한다.
이마트24를 제외한 스타벅스, 이마트 등 신세계그룹의 계열사에서는 아직 애플페이를 지원하지 않으며, 버스·지하철 등 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없다.
기자가 직접 애플페이를 사용해본 결과 등록과 결제 자체는 쉽고 간편했다. 카드번호를 별도로 확인하지 않아도 현대카드 앱과 연동을 통해 1분만에 결제 등록을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다만 애플워치에서 애플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카드 뒷면의 CVC 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애플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근거리무선통신’(NFC)를 지원하는 결제단말기가 설치된 매장을 찾아야 했다. 이 부분도 아직은 불편했다. 카드결제를 지원하는 어느 매장에서나 결제할 수 있는 삼성페이와 달리 애플페이는 아직 결제가능 매장이 한정돼 있어 스마트폰 앱을 통해 결제처를 찾아야했다.
가장 가까운 편의점을 방문해 음료 한 캔을 구입한 후 애플워치의 페이 기능을 실행했다. 애플워치로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시계 화면을 아래로 향해야 한다. 결제 진행 후에는 애플워치가 짧게 진동하며 결제가 완료됨을 알려줬다.
박흥순기자 soon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