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이종호 기자]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준감위 통제를 받지 않는 삼성 그룹의 대외 활동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 위원장은 27일 대한경제와 전화통화에서 “삼성 그룹은 준감위의 준법감시를 받는 처지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정치자금 문제가 쉽게 이뤄지기 어려운 구조”라고 말했다.
준감위 협약사가 아닌 삼성증권이 유일하게 한경협 불참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서도 “그만큼 삼성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는 의지가 확고하고 준감위에 대한 신뢰가 큰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는 삼성그룹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작은 돛단배에는 컨트롤타워가 필요 없지만, 삼성은 어마어마하게 큰 항공모함”이라며 “많은 조직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한 컨트롤타워가 없으면 효율성과 통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이 국내 경쟁에 묻히지 않고 세계적 기업이 돼야 국민 경제가 발전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컨트롤타워라는 함장이 필요하다”고 거듭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준감위원들의 면담 이후 이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개인적인 신념으로는 (그룹 컨트롤타워 복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은 과거 컨트롤타워로 불린 미래전략실(미전실)을 2017년 2월 폐지했다.
이후 삼성은 △사업 지원(삼성전자) △금융경쟁력 제고(삼성생명) △EPC(설계·조달·시공) 경쟁력 강화(삼성물산) 등 사업 부문별로 쪼개진 3개 태스크포스(TF)를 운영 중이다.
미전실 시절에는 각 계열사 이사회가 아닌 미전실이 중요한 경영 판단을 내리면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논란이 있었고, 미전실은 국정농단 사태 후폭풍 속에 해체됐다.
하지만, 현 구조로는 삼성 전체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이유 등으로 일각에선 컨트롤타워 부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삼성의 전경련 복귀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이 위원장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전경련이 정경유착 고리를 끊고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고 기업을 대변하는 직역단체로 자리 잡으려면 관계된 분들이 스스로 그 기회를 줘야 한다”며 “안에서 혁신 작업을 벌일 때까지 외부인이 와서 자문할 수는 있지만, 그 작업이 끝나고 넘겨준다면 완전하게 독립성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직접 이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지난 6개월간 전경련을 이끈 김병준 회장 직무대행이 한경협 출범 이후에도 고문으로 남은 것을 에둘러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위원장은 “지금 외형 자체가 벌써 정경유착의 고리가 있는 것처럼 의심받을 수 있다”며 “의심받을 일은 만들지 않는 게 제일 좋다”고 말했다.
이어 “안이 아니라 밖에서 자문하는 게 더 객관적이고 도움이 될 것이며 그것이야말로 조직에 대한 애정이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종호 기자 2pre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