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장태연 KCL 모빌리티본부장, 장동훈 KTC 에너지본부장, 이호령 환경공단 환경성보장처장, 하인성 경북TP 원장, 박정원 KTL 부원장, 박문석 KTR 전기전자에너지연구소장, 주정균 FITI 신뢰성연구본부장이 협약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KTL 제공 |
[대한경제=정회훈 기자]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 원장 김세종)이 사용후 배터리를 포함한 국내 이차전지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선다.
KTL은 경북테크노파크(경북TP), 한국환경공단,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FITI시험연구원 등과 ‘이차전지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용후 배터리는 전기차 등 완성품에서 탈거되어 재제조·재사용·재활용 방식으로 활용되는 배터리다. 수거·선별 등 재분류 과정을 거쳐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등으로 재사용되거나, 리튬, 코발트 등 핵심 소재를 추출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잔존가치가 높다.
이번 협약으로 참여기관들은 △이차전지 소재부터 사용후 배터리까지 전주기 기술개발 및 기반 구축 △원료ㆍ중간재 등 소재 전반에 대한 분석·평가 체계 및 기반 마련 △배터리 전반 국제 공동 평가 기술개발 및 기준 마련 △이차전지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 역량강화 및 신규 협력사업 발굴 등에 협업하기로 했다.
특히, KTL은 이번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제도에 도입되어 있는 SW 검사기법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여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박정원 KTL 부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사용후 배터리를 포함한 이차전지 전주기 기술개발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KTL은 57년간 쌓은 시험 노하우와 이차전지 전문 시험 인프라를 활용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정회훈 기자 hoon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