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간 2%대로 떨어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3%대로 반등하면서 물가 오름세에 우려가 제기된다. 물가가 성장동력을 잠식하는 악재가 되지 않도록 정책 당국은 물가 고삐를 다시 조여야할 것이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이는 전달과 비교해 1.1%포인트 뛴 것이며, 2000년 9월 이후 최대폭이다. 이번 물가 반등은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 변화에 크게 기인한다. 석유류 물가는 전체 물가상승률에서 무려 80% 정도 기여했고, 농산물 물가상승률도 폭염·폭우 등 궂은 날씨 탓에 5.4%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물가 흐름에 다소 기복이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낙관했다. 기획재정부 김병환 1차관도 “10월 이후부터는 물가가 다시 안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물가 불안요인들이 도처에 깔려 있어 안심하기는 이르다. 산유국들의 감산 지속으로 배럴당 70달러 안팎이던 국제유가가 80달러대로 뛰면서 휘발류·경유 가격이 급등세다. 이상기후에 따른 폭염과 가뭄, 홍수 등이 지구촌을 강타해 국제 식료품 가격도 오름세다. 여기에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당국은 긴장해야 한다.
물가를 잡지 못하면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경기 반등의 불씨를 꺼뜨릴 수 있다. 마침 이날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6%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설비투자를 제외한 모든 부문이 뒷걸음쳤는데도 수출보다 수입 감소 폭이 더 커 순수출이 늘면서 플러스 성장이 가능했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실제로 민간소비는 0.1% 감소했고, 정부소비는 2.1%, 건설투자는 0.8% 각각 줄어들었다.
연말까지 성장동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수출 못지 않게 내수 진작에도 힘써야한다. 정부는 올 연말까지 181조원을 공급해 수출을 지원하고, ‘킬러규제’ 혁파로 투자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민간소비도 성장 견인 대열에 다시 합류하기 위해선 물가 안정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