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김현희 기자] 한국과 인도네시아 기업인들이 양국 수교 50주년을 기념, 미래 핵심 산업과 공급망, 디지털 등 다양하게 협력하기로 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윤석열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계기로 인도네시아상공회의소(KADIN)와 함께 자카르타에서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열였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 박상규 SK엔무브 사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윤춘성 LX인터내셔널 대표이사 등 양국 기업인 40여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도 참석해 양국 기업인을 격려했다.
정의선 회장은 한국 기업인을 대표해 "올해는 수교 50주년이자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이 발효된 특별한 해"라며 "인도네시아는 한국이 처음으로 외국인 투자를 시작한 국가로, 원자재 투자로부터 봉제업 등 2차 가공업 투자를 거쳐 배터리, 전기차 등 미래 산업까지 협력 분야가 발전돼 왔다"고 환영사를 진행했다.
그는 "한국의 많은 기업이 IT, 전기차 생태계, 의료, 전력 인프라,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도네시아의 미래와 함께 할 예정"이라며 "양국 경제협력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이며, 인공지능(AI)과 도심항공모빌리티, 수소산업 등 다양한 미래 첨단 분야까지 확장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미래산업을 위한 공급망 문제가 강조됐다. 한·인도네시아 민간경제협력위 한국 측 위원장인 윤춘성 사장은 "앞으로 2차전지 핵심광물, 첨단산업용 광물 개발에도 진출할 것"이라며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자원과 성장 가능성이 높아 한국 기업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양국 관계가 더 공고해지도록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윤범 회장은 "니켈 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원료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올인원' 니켈제련소 건설을 계획 중으로 2026년부터 연간 니켈 4만3000t, 전기차 약 100만대분의 황산니켈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행사 이후에는 원전, 모빌리티, 핵심 광물 분야 등에서 양국 기업·기관 간 실질적인 미래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도 가졌다.
김현희 기자 maru@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