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제조업 공장촌’ G밸리 상전벽해, 서울면적 0.3%서 14조 생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3-09-26 12:48:16   폰트크기 변경      

사진 위: 1960년대, 1990년대,  2020년대 G밸리 일대 전경. 사진 중간, 하단 G밸리 변천사 그래프. / 사진과 그래프 : 서울시 제공


[대한경제=임성엽 기자]서울시 전체 면적의 0.3%에 불과한 G밸리(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 생산액이 1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제조업 공장촌’이었던 1970년대 한국수출산업공업단지(옛 구로공단)가 산업구조 패러다임 변화에 성공, 정보통신기술(ICT) 첨단 지식산업단지로 탈바꿈했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G밸리는 총면적 192만㎡, 고용인원 14만9105명, 입주기업 1만3085개, 연간 생산액 14조원, 수출 28억 달러를 담당한다. 2000년 대비 고용은 4.5배, 입주업체는 18배, 생산 2.8배, 수출은 1.8배로 증가했다. 생산성도 높다. G밸리의 생산액은 670만원/㎡으로 국가산업단지 생산액 평균 100만원/㎡의 6.7배다. 

이러한 성장에는 꾸준한 규제완화와 업종 고도화를 통해 집적화 효과가 컸다는 설명이다. 실제 업종 고도화를 통해 G밸리 입주한 기업 10곳 중 6개 기업은 정보통신 및 지식산업 분야다. 

15만명이 근무하는 일자리는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회사 52개사와 많은 강소기업이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 사업체 종사자 수의 3.1%를 차지한다.

온라인·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넷마블’과 ‘컴투스’가 있다. 세계 극세사 섬유 점유율 1위 기업인 웰크론, 차량용 카메라 모듈 분야 국내 1위 기업 엠씨넥스, 오스템 임플란트, 에듀윌 등 다양한 업체들이 둥지를 틀고 있다.


서울시는 G밸리 일대가 일하기 좋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직주근접 주거용 부지개발 △교통문제 해소 △기업성장 지원ㆍ전문인력 양성 △기업ㆍ근로자 지원 시설 확충 등 근무ㆍ정주여건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주거분야와 관련 서울시는 지난 6월 가리봉동 87-177 일대를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으로 확정했다. 이는 서남권 일자리의 중심인 G밸리 직주근접 배후 주거단지로 거듭날 예정이다. 주거단지 규모는 4만552㎡, 최고 39층 내외, 약 1179세대다. G밸리를 거점지역으로 도약하는 주거단지 조성을 위해 단절된 구로-가산 G밸리를 잇는 열린단지 조성, 남구로역 역세권과 연결되는 복합주거단지 조성도 기대된다.

서울시는 교통분야 개선을 위해 디지털3단지~두산길간 지하차도 건설과 서부간선도로 일반도로화ㆍ친환경 공간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수출의 다리 일대 교통체계 개선 타당성 용역도 진행 중이다. 2025년 개통을 목표로 광역철도인 신안산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기업성장 지원 분야는 G밸리 창업복지센터에 창업큐브를 운영, 유망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G밸리와 연계한 기술기반 첨단제조 창업시설을 구로 고척동 100번지 일대(구 남부교도소 부지)에 연면적 1만7652㎡ 규모로 2027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입주기업 및 근로자 정주여건 개선분야는 G밸리 창업복지센터내 직장맘지원센터를 운영, 기업 종사자 고충 해소를 지원한다. 2024년 5월 준공을 목표로 다목적 체육관도 건립 중이다.  금천구 가산동 459-18 일대 서울디지털 운동장을 체육ㆍ기업지원시설로 복합개발 할 예정이다. 


김태균 경제정책실장은 “G밸리는 산업구조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우리나라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산업을 육성, 성장해왔다”며 “G밸리 일대에 기업지원, 정주여건 개선을 집중해 신산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임성엽 기자
starleaf@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