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 C&C가 글래스돔과 협력해 제조 분야 공급망 특화 탄소 배출 데이터 관리 플랫폼인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 PoC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사진: SK C&C 제공 |
[대한경제=이계풍 기자] SK㈜ C&C는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에 대한 기술 검증(PoC)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SK C&C는 이 플랫폼을 이용하면 ‘스코프3(협력업체를 포함해 전체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K C&C는 지난 5월부터 공급망 제품 탄소 배출량 관리 설루션 기업 글래스돔과 해당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고, 탄소 배출 규제 시행에 따른 대응 시기가 임박한 제조사를 상대로 2개월여에 걸친 PoC를 통해 플랫폼 기능을 완성했다.
탄소배출 규제는 유럽을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규제 대응 시기가 임박한 상태다.
앞서 유럽연합(EU)은 지난 4월 수입품 제조 과정에서 EU가 정한 탄소 배출량 기준을 넘긴 제조사에 배출권 인증서 구매를 강제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확정한 바 있다.
SK C&C 방수인 디지털 ESG그룹장은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은 수출 제조업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된 기업 맞춤형 플랫폼” 이라며 “제조 현장에서 축적한 사업 경험과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탄소 배출 규제 대응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든든한 디지털 ESG 파트너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계풍 기자 kp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