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왼쪽 여섯 번째)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특위 위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20일 노인문제 해결을 논의할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별위원회’를 출범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통합위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출범식을 열고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위원장으로 위촉했다.
특위는 노인 역할과 세대 간 존중을 위한 정책 제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앞으로 △노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나이에 따른 차별을 없애고 각 세대가 공존할 방안 △생애 진로교육과 디지털 문해력 교육 등 노인 교육 활성화 △노인ㆍ청년세대가 함께 일하는 ‘세대 통합형 일터’ 등 고령자들이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 구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통합위는 “노인 문제 해결이 곧 청년 문제 해결”이라며 “이 관점에서 청년 위원이 특위에 참여해 미래 세대의 공감을 이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출범식에서 “우리나라의 노인세대는 전쟁의 상흔과 가난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현재 우리가 누리는 물질적, 정신적 풍요를 만들어낸 주인공”이라며 “하지만 현실은 현재 나이가 차별의 대상이 되고 있고 세대 간 갈등은 갈수록 커져만 가고 있어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인들이 지닌 경험과 지혜가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역할을 해낸다면, 국가 경쟁력 면에서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청년 세대들에게도 노인 문제는 남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가깝게는 우리 부모들의 이야기이고 미래에는 나 자신의 문제가 될 것”이라고 모든 세대의 관심을 촉구했다.
정순둘 특위 위원장은 “즐겁게 배우고 함께 일하는 노년, 미래세대와 소통하며 사회에 기여하는 노년을 기대할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방점을 두고 특위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