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타르를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도하 알 비다 공원에서 열린 도하 국제원예박람회 한국관 개관식을 찾아 한국형 스마트농업 전시관에서 이병학 농심 대표(왼쪽 두번째)의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카타르 국빈방문 첫 일정으로 도하 국제원예박람회를 찾았다.
윤 대통령은 이날 박람회 한국관 개관식에 참석해 미래 주력산업인 스마트팜 시장을 현지에서 개척하고 있는 우리 업체들을 격려하며 “스마트팜 수출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정부 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팜 수출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람회는 사막 지역에서 처음 열린 대규모 국제원예박람회로 한국·네덜란드·사우디아라비아·일본 등 80여개국이 참가했다. 주제는 ‘녹색 사막, 더 나은 환경’이다.
개관식이 열린 한국관은 정자와 우리나라 산수로 한국적 특색을 살린 야외 정원과 스마트농업 전시관으로 조성됐다.
윤 대통령은 한국관 입구에 도착해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빈 칼리파 알 싸니 카타르 국왕이 윤 대통령 국빈 방문에 맞춰 선물한 카타르 자생 대추야자 나무 묘목을 살펴 봤다.
윤 대통령은 “이 묘목이 자라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물을 어디 쯤에, 바닥에 뿌려야 하나”라며 안내를 받아 물을 줬다.
카타르와 수직농장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기업 대표가 윤 대통령에게 수직농장 원격제어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한국관 정중앙에 자리한 스마트팜에서 농심 대표의 설명을 들으며 “사우디나 카타르나 UAE같은 사막 국가들은 채소나 농산물 재배가 어렵다. 그래서 비닐하우스나 이런 걸 많이 쓸 텐데 이렇게 버티컬 팜으로 하면 일반 비닐하우스보다 몇 배 더 효율적이냐”고 물었다.
박람회 관계자는 홍보 영상을 가리키며 “60배 정도 더 효율적으로, 여기 화면에 보이는 게 안성에 있는 농심 스마트팜”이라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는 팜이 아니라 팩토리”라며 농심관계자의 안내에 따라 스마트팜 조명 원격 조절 시스템을 가동한 뒤 변화된 모습을 살펴봤다.
윤 대통령은 이어 아이오크롭스사가 개발한 AI 스마트팜 로봇 헤르마이(HERMAI)가 전시된 곳으로 이동했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예전에 가보셨던 곳에 입주했던 기업”이라고 하자 기억이 난다는 듯 “아, 토마토”라며 반겼다.
윤 대통령은 로봇을 본 뒤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전시관을 언급하며 “나중에 네옴시티가 만들어지면 큰 블록을 하나 만들어 도시형 농업을 한다는데 이런 게 필요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반밀폐형 스마트팜으로 이동, 스테비아 토마토를 시식했다. 동행한 카타르의 압둘라 빈 압둘라지즈 빈 투르키 알 수베이 자치행정부 장관도 시식을 한 뒤 “굉장히 맛있다”고 호평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브리핑에서 “스마트팜과 스마트 농업 기술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등을 통해 우리 농업의 체질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출 산업으로도 유망한 분야”라고 말했다.
이어 최 수석은 “특히 사막 기후로 인한 척박한 농업 생산 여건을 스마트 농업을 통해 극복하고 식량안보를 강화하려는 중동 국가들은 우리의 스마트팜 협력 핵심 파트너”라며 스마트팜 기술단지 조성 등 구체적인 협력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카타르를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현지시간) 도하의 하마드 국제공항 왕실터미널에 도착, 전용기에서 내리며 인사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사우디 국빈방문 일정을 마치고 공군 1호기 편으로 카타르로 이동, 수도 도하에 도착했다.
사우디에 이어 카타르 국빈방문 역시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중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25일 카타르 에미르(군주)인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와 정상 회담 및 국빈 오찬 등 공식일정을 진행한다.
양국 정상은 회담에서 기존 에너지와 건설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양국 협력 분야를 투자, 방산, 농업, 문화, 인적교류 등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또 양국 기업인 약 300명이 참석하는 ‘한-카타르 비즈니스 포럼’에도 참석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계획을 밝히고, 경제 협력 분야를 첨단 산업까지 고도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수소, 태양광 등 에너지와 첨단기술, 보건, 문화 등 신산업 분야의 협력이 주요 관심사다.
이어 카타르의 교육 도시 ‘에듀케이션 시티’를 방문해 카타르 청년 리더들과도 대화에 나선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