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MM의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알헤시라스호./사진: HMM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HMM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75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97% 하락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액도 전년 대비 58% 하락한 2조1266억원, 당기순이익은 96% 급락한 954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14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가게 되면서 지난해 말 26%였던 부채비율은 20%로 개선됐다.
실적 부진의 원인은 전 노선에서 해상 운임이 하락하며 해운시황이 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해상 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올 3분기 886∼1043으로, 지난해 동기(1922∼4203)의 4분의 1 수준으로 하락했다.
다만 적자를 내거나 소폭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경쟁사들과 비교하면 HMM의 3분기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최고 수준인 3.6%로 나타났다.
HMM에 따르면 세계 2위 글로벌 선사인 덴마크 머스크는 3분기 영업 손실을 기록했으며, 이스라엘 짐라인(세계 10위), 대만의 완하이(세계 11위)도 지난 2분기부터 적자로 전환했다. 세계 6위인 일본의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는 1.6%의 낮은 영업이익률을 보였다.
HMM이 실적을 방어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간 초대형선 비율을 높이고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체질을 개선해온 덕분이다.
HMM의 초대형선(1만TEU급 이상 선복량 기준) 비율은 세계 1위 수준이며, 선박탄소집약도지수(CII) 관리를 강화하는 등 환경규제에도 긴밀하게 대처해왔다.
컨테이너 위주 사업 포트폴리오를 벌크 부문으로 확대해 안정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해 진 점도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기여했다.
4분기 실적은 3분기와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 러시아ㆍ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 불안정한 정세에 따라 순탄하지 않을 전망이다.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컨테이너 물동량은 둔화한다.
HMM 관계자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타 선사 대비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그동안 진행했던 체질 개선 효과와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입증했다”며 “신규사업개발과 냉동ㆍ특수ㆍ내륙 화물 등 수익성이 높은 화물을 늘리고 신사업을 개발해 수익 향상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