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4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한 뒤 취재진과 질의응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14일 당 지도부와 중진, 친윤계의 험지 출마에 대해 “저는 100% 확신한다.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요한 위원장은 이날 오전 혁신위원들과 제주 4ㆍ3 평화공원을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조금 더 시간을 주면 분명히 움직일 것이라 확신한다. 조금 기다려줄 줄도 알아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인 위원장은 “절대 이름은 거명 안 했지만 분명히 움직일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빨리 발전하는 것은 ‘빨리빨리’ 문화 때문이지만 좀 기다릴 줄도 알아야 한다”고 낙관적인 입장을 내놨다.
그는 ‘매’라는 표현을 동원해 중진 용퇴론을 압박한 데 대해선 “교수에게 어울리지 않는 말을 썼다고 집사람에게 야단을 맞았다”면서도 “매는 여론이고 여론은 국민이다. 그 매는 (총선 때) 국민의 투표로 이어진다. 그렇게 복잡한 뜻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인 위원장은 전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희생 요구에) 역행하는 사람도 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우유를 마실래, 아니면 매를 좀 맞고 우유를 마실래’”라며 중진 의원들의 결단을 거듭 촉구한 바 있다.
최근 혁신위가 발표한 혁신안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등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면 조기 해산도 검토한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도 해명했다.
인 위원장은 “크리스마스 전에는 잘 끝내야 한다. 여러 혁신위원의 의견이 많이 있고 그런 의견을 자유롭게 얘기하라고 하지 그분들이 말 못하게 하는 자세를 취하지 않는다”며 “여러 이야기가 나온다”고 전했다.
김경진 혁신위원도 전날 혁신위 조기 종료 가능성을 언급한 보도 이후 입장문을 통해 “혁신위 발족 초기에 혁신위가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면 조기 종료도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이 오고 간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시점에서 혁신위 활동을 조기종료하자는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된 바도 없었고, 그와 관련된 합의도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혁신위의 거듭된 압박에도 불출마 및 험지출마 요구에 대한 ‘친윤ㆍ중진ㆍ지도부’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대구 5선의 주호영 의원은 지난 8일 지역 의정 보고회에서 “대구에서 정치를 시작했으면 대구에서 끝내는 것”이라며 험지 출마론을 거부했다.
부산 3선의 장제원 의원도 지난 주말 지역 지지자들 모임인 ‘여원산악회’ 창립 기념식에 참석해 “알량한 정치 인생을 연장하면서 서울 가지 않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기현 대표 역시 거취 표명을 미루고 있다.
당내에선 ‘혁신위에게 돌파구가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인터뷰에서 “권한의 차원에서 혁신위가 실질적으로 뭘 강제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이고 인 위원장이 산신령 같은 선문답만 하시고 계시기 때문”이라며 “산신령 같이 어떤 선문답 하시면서 침대축구 하시는 것도 이제 좀 한계가 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