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DB |
[대한경제=이재현 기자]경기도 구리시와 오산시, 용인시 등 수도권 3곳에 총 6만5500가구, 청주시와 제주특별자치도 등 비수도권 2곳에 1만4500가구 등 총 8만가구의 신규 주택이 들어선다. 이 중 오산시는 3만1000가구로 ‘미니 신도시’급 주택단지가 건설된다.
국토교통부는 15일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로 전국 5개 지구, 총 8만가구의 신규택지 후보지를 발표했다.
이번 신규택지 후보지는 수도권 3곳, 비수도권 2곳으로 나뉜다.
우선 이번 신규택지 후보지 중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오산세교3지구’다. 경기도 오산시 가수동, 가장동, 궐동, 금암동, 누읍동, 두곡동, 벌음동, 서동, 탑동 일원 총 433만㎡에 조성되며 3만1000가구가 들어선다.
이곳은 화성과 용인, 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인근에 위치해 R&D·업무 등 반도체산업 지원기능을 강화하고, 인접한 세교1·2지구가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복합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해 세교1·2지구를 통합한 ‘자족형 커넥트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국토부측은 “2025년 수원발 KTX, 수도권급행광역철도(GTX)-C 연장 등을 통해 철도교통을 기반으로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 주거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수택동, 아천동, 토평동 일원에 조성되는 ‘구리토평2지구’는 1만8500가구가 들어선다.
구리토평2지구는 서울시 동부지역과 인접하고 남측에 한강, 서측 아차산이 위치하고 있어 서울·수도권 주민들의 거주 수요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국토부는 평가했다.
![]() |
구리토평2지구 신규택지 후보지(제공:국토교통부) |
구리토평2지구는 한강변이라는 입지적 장점을 활용, 주거단지는 한강조망으로 특화하고, 신성장 혁신기업들을 유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한다.
특히, 한강변 지역은 조망 및 도시디자인 특화구역으로 설정해 수변의 여가·레저 공간을 활용하는 ‘리버프론트(Riverfront)시티’로 만들 계획이다.
국토부는 접근설 개선을 위해 상봉역(7호선, GTX-B)·망우역(경의중앙선)・장자호수공원역(별내선)과 연계하는 대중교통 내·외부 순환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강변북로~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남구리IC 접속시설 개선으로 서울 강남 방향 등 지역간 교통 접근설을 향상하는 동시에, 강변북로 교통량 분산을 위하여 서울(청량리)~대상지~남양주를 연결하는 동서 교통망 확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도권지역 마지막 신규택지 후보지로 선정된 ‘용인이동지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천리, 묵리, 시미리 일원 228만㎡에 총 1만6000가구가 조성된다.
이곳은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용인 테크노밸리(1・2차) 등 다수의 첨단산단이 입지하고 있다.
국토부는 IT 인재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인프라와 서비스를 대폭 강화하고 첨단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용하여 ‘직주락(Work·Live·Play) 하이테크(High-Tech)시티’로 조성할 계획이다.
비수도권 2곳은 ‘청주분평2지구’와 ‘제주화북2지구’가 신규택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청주분평2지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장성동, 장암동, 상당구 방서동
평촌동 일원 130만㎡에 9000가구가 들어선다.
이곳은 청주역・오송역을 중심으로 신규 산업단지가 계속 조성중이며, 반도체공장 증설(SK하이닉스) 등 산업기능 강화로 인해 주거공간 확충이 요구되는 곳이다.
국토부는 기존・신규조성 산단과의 산업기능을 연계・보완하고, 주변 원도심에 부족한 상업·MICE·커뮤니티 등 서비스 시설을 설치해 원도심과 상생·발전하는 복합생활공간으로 조성발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제주화북2지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련일동, 화북이동, 영평동 일원에 조성된다. 92만㎡ 규모로 5500가구가 들어선다.
국토부는 제주가 늘어나는 인구와 비교해 기존 공공주택 공급이 부족하고, 개발이
활발한 제주 서부권(연동 등)에 비해 제주화북2지구가 속한 동부권은 계획적 개발이 필요한 곳으로 판단했다.
이곳은 제주동부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지구, 지구 남측의 첨단과학기술단지(1·2단지)와 연계 개발을 통해 지식·첨단산업, 상업, 생활SOC기능을 배치하여 동부권을 대표하는 주거복합단지로 탈바꿈된다.
이번 발표한 신규택지 5곳은 2025년 상반기까지 지구지정을 완료하고 2026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을 거쳐 2027년 상반기에 최초 사전청약 및 주택사업계획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오진 제1차관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공공택지 공급으로 수요가 있는 곳에 양질의 주택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해 국민 주거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기자 ljh@
이재현 기자 lj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