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종무 기자] 우리나라와 일본이 수소 산업 협력에 나선다. 수소 활용 부문 세계 1위인 우리나라와 수소 특허 분야 선진국인 일본의 협력 잠재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 |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에서 열린 한일 정상 좌담회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대담하고 있다. /사진:연합 |
17일(현지시간)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중인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미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에서 좌담회를 갖고 이렇게 뜻을 모았다.
콘돌리자 라이스 전 미 국무장관 사회로 열린 스탠퍼드대 간담회는 한일ㆍ한미일 첨단기술 협력을 주제로 개최됐다. 윤 대통령은 앞서 한미일이 지난 8월 ‘캠프 데이비드 정상 회의’에서 3국 협력을 포괄적 협력체로 발전시키기로 한 것을 상기하며, 첨단기술, 탄소 저감과 청정 에너지 전환 등에서 공조를 강화하고 공동 리더십을 발휘하자고 강조했다.
수소 분야는 양국 협력의 잠재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가 수소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 측면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고 있고 일본은 많은 수소 특허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전날 현지 브리핑에서 “한일이 힘을 합치면 수소 생산과 도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청정 수소 인증 안전기준 설정 등 국제 규범 논의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부처 간 협의로 합의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좌담회를 앞두고 실리콘 밸리 일대에서 활동하는 양국 스타트업 대표 등 관계자도 함께 만나 스타트업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우리 정부는 이러한 일환으로 내년 초 일본 도쿄에 코리아스타트업센터를 열고 교류의 거점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