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들이 2차전지, 인공지능 등 신사업을 사업목적으로 대거 추가했지만, 실제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은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반기보고서를 대상으로 신사업 추진현황 실태 분석을 진행할 결과 2차전지 등 주요 7개 테마업종을 신규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상장사 233개사 중 55%에 해당하는 129개가 현재까지 관련 사업 추진 현황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7개 테마업종은 ➀메타버스 ➁가상화폐·대체불가토큰(NFT) ➂2차전지 ➃인공지능 ➄로봇 ➅신재생에너지 ➆코로나 등이다.
이에 앞서 금감원은 지난 6월 신사업 진행경과 기재를 의무화한 바 있다. 상장사 등이 정관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사업 관련 내용을 정기 공시하도록 공시 서식을 개정한 것이다. 정관에 추가한 신사업의 세부 추진 현황 등을 사업·반기·분기보고서에 공개하도록 의무화했다.
신사업 테마주 인기에 편승하기 위해 사업 목적을 허위로 작성하는 기업을 솎아내기 위해 마련한 것인데, 올해 반기보고서는 개정 후 처음으로 적용된 것이다.
이번 보고서 분석을 통해 상당 수 기업들이 인기에 편승해 신사업을 추가했지만, 실제로는 사업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사업추진이 전무한 129개사 대부분은 다년간 영업손실이 발생했거나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대주주 변경 등으로 재무·경영 안정성이 낮으며, 령·감사의견거절 등의 사유로 관리종목 지정·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는 등 투자 고위험 종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신사업 추진 발표 이후 대주주 관련자가 전환사채(CB) 전환·주식 매도 등의 부정거래 혐의 의심 기업이 일부 발견됐다. 그 밖의 기업들도 사업추진 역량, 사업 타당성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토 없이 보여주기식의 신사업 추진을 발표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미추진 기업 중 기보고서·주요사항보고서 미제출 등으로 공시위반 제재 이력이 있는 기업이 25%(31사)를 차지했으며, 최근 실시한 신사업 진행경과 기재 관련 2023년 반기보고서 중점점검에서도 기재 미흡 회사 비율이 65%(84사)에 달했다.
금감원 측은 “신사업 미추진 기업에 대해 심사·감리 역량을 집중하고 회계처리 적정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면서 “신사업 추진 발표 이후 사업 진행이 부실한 기업에 대해서는 불공정거래 혐의 여부 점검과 필요시 철저한 기획조사도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