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댓글 개편 취소” 네이버, 여론 부담에 백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3-11-21 15:34:18   폰트크기 변경      

네이버 CI. 사진: 네이버 제공


[대한경제=이계풍 기자]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 이용자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개편한 댓글 기능을 닷새 만에 철회했다. 내년 4월 제21대 국회의원선거(이하 총선)를 앞두고 자칫 여론 조장 등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아들인 결과로 풀이된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 20일 ‘뉴스 댓글 내 인용답글(대댓글의 답글)’ 기능을 중단했다. 해당 기능을 서비스한 지 불과 5일 만의 결정이다.

그간 네이버는 뉴스 기사에 답글을 다는 것을 허용했지만 다른 이용자가 해당 답글에 다시 답글을 다는 기능은 서비스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특정 뉴스에 대한 의견이 답글로 달려도 재답글 기능이 없어 이용자 간 직접적인 소통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네이버는 16일 이용자 간 소통과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고자 댓글 시스템을 개편했다. 메타(옛 페이스북)ㆍX(옛 트위터)ㆍ유튜브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처럼 한 게시물에 지속적으로 답글이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이용자 간 원활한 소통을 돕는다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내년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대댓글 기능이 과거 ‘드루킹 사건’과 같이 여론 왜곡을 위한 수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결국 “아직 사용자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기 종료로 이용자 혼선을 드리게 돼 죄송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서비스를 중단했다.

네이버가 여론 조작 우려가 있는 서비스를 기획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네이버는 앞서 7월에도 ‘트렌드 토픽’이라는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해당 서비스가 여론 조작 논란으로 폐지됐던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출시조차 못한 채 철회한 바 있다.

이처럼 네이버의 신규 서비스가 매번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은 국내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 때문이다. 네이버는 43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국내 1위 포털 사이트다. 특히 뉴스 중 70%가 네이버 포탈에서 소비될 정도로 영향력이 상당하다.

물론 구글, 메타 등 해외 플랫폼 기업과 경쟁하는 네이버에 대해 너무 엄격한 제재가 가해지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IT 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가 여론 조작 가능성을 없애고자 이용자 간 댓글 수를 제한하고 유해 표현을 사전 차단하는 AI 기술까지 선보였지만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었다”며 “국내 플랫폼 기업에 대한 지나친 제재는 결국 구글, 메타 등 해외 기업에 시장을 빼앗기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계풍 기자 kp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이계풍 기자
kplee@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