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근우 기자] 정부가 2045년까지 공공 건물ㆍ차량 부분의 탄소중립을 위해 나선다. 또 오는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30% 이상 줄이기 위한 로드맵을 내놨다.
23일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 따르면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전체회의를 열고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37% 감축하고 2045년까지 공공 건물ㆍ차량 부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내용의 ‘공공부문 탄소중립 추진방안’을 의결했다.
![]() |
탄녹위가 2045년까지 공공 건물ㆍ차량 부분 탄소중립에 나선다. /사진:이근우 기자 |
정부는 그린 리모델링 등으로 공공건축물 에너지 성능을 높이고 민간투자를 끌어와 공공이 소유한 유휴공간을 활용해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기로 했다.
또 올해부터 국가기관ㆍ지방자치단체ㆍ공공기관은 무공해차만 구매ㆍ임차하도록 하는 등 공공차량을 무공해차로 전환하고 공공선박 388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바꿔 친환경 선박 전환율을 2030년까지 83%로 높인다는 복안이다.
녹색제품 의무 구매 대상 공공기관도 확대할 방침이다. 아울러 각 기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유도하고자 정부 업무평가 등의 인센티브 체계도 개편한다.
탄녹위는 ‘2030 메탄 감축 로드맵’도 심의ㆍ의결했다.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이상 감축한다는 각오다.
우리나라의 지난 2020년 메탄 배출량은 2740만t(이산화탄소 환산량)이다. 이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4.2%에 해당한다. 메탄의 경우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8배 더 큰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이산화탄소가 대기에 남아있는 기간이 100~300년이나 되는 것에 비하면 메탄은 최대 10년 안팎에 그치기 때문에 단기간 내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다.
세계기상기구(WMO) 기준 작년 지구 평균 메탄 농도는 1923±2ppb로 산업화 이전보다 264% 높았다. 메탄 배출량 60%는 축산과 농업, 화석연료 사용 등 인위적 배출원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산된다.
탄녹위의 메탄 감축 로드맵에는 축산 부문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저메탄 사료를 보급하고 현재 13%인 분뇨 정화 처리 비율을 2030년까지 25%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계획이 담겼다.
농업 부문에서는 체계적 논물관리 법을 확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논에 물이 차 있으면 메탄생성균에 의해 메탄이 발생한다. 벼 생장에 맞춰 논에 물을 빼주면 메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탈루성 배출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할 방침이다. 가스관에 구멍이 나는 등의 이유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탈루성 배출이라고 하는데 메탄은 세계 배출량 36%가 탈루성 배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다른 나라에서 메탄 배출량을 줄이는 사업을 벌인 뒤 실적을 가져오는 국제감축도 추진한다.
한편 이날 전체회의에서는 지난 2021년 10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과 올 4월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을 반영한 ‘배출권 거래제 3차 계획기간’ 배출허용총량 조정도 이뤄졌다.
이근우 기자 gw89@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