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방부는 지난 24일 북한이 동부전선 최전방 소초(GP)에서 감시소를 복원하는 정황을 지상 촬영 장비와 열상감시장비(TOD) 등으로 포착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방부 제공]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북한이 9ㆍ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 선언 이후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조치에 착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같은 북한의 동향을 보고 받고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군 당국은 27일 북한군이 9ㆍ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군 감시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북한군 병력이 감시소를 설치하는 장면 △진지에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중화기를 배치하는 장면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 등이 담겼다.
군 관계자는 “예전에 GP를 파괴하기 전에 경계초소(감시소)가 있었는데 그것을 (다시) 만드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하얀 목재를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했다”며 전했다.
그는 “GP 파괴 후 병력과 장비가 모두 철수했는데 북한군이 장비를 들고 가는 모습도 보인다”며 “원래 GP 내 무반동총, 고사총 등 중화기가 있었는데, 북한 용어로 ‘비반동총’(무반동총)을 들고 가는 장면이 식별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야간에 열상장비로 찍어보니 (진지에서) 북한군 병력이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도 식별됐다”고 전했다.
군 당국이 카메라와 열상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통해 북한군 동향을 공개한 곳은 9ㆍ19 군사합의 이후 파괴됐던 동부전선 소재의 한 GP다.
군 관계자는 “(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북한군) GP 모두 유사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감시소 설치에 대해서도 “지난 24일부터 GP 관련 시설물을 복원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며 “감시소는 필수 경계시설이어서 11곳 모두 만들 것으로 본다. 주변 경계진지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남북은 5년 전 체결한 9ㆍ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에서 운영 중이던 각각 11개 GP 중 10개를 완전파괴했고,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 GP는 북측이 160여개에서 150여개로, 남측은 60여개에서 50여개로 줄어든 상태였다.
군 관계자는 “9ㆍ19 군사합의 파기를 발표했으니 그 일환으로 기존 GP 시설물을 복원하는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GP 복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수준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에 임시로 만든 것 같기는 하다. 막사나 지원시설은 후사면에 있는데 이런 것들도 일부 식별된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서해 해안포 개방에 대해 “(1개소당) 한 자릿수에서 두 자릿수로 수배 늘었다”고 추가로 설명했다.
국방부는 입장자료를 내고 “11월 24일부터 (북한은 9ㆍ19 군사합의에 따른) 일부 군사조치에 대한 복원 조치를 감행 중”이라며 파괴 및 철수 GP 11개소에 근무자를 투입하고 임시초소를 설치하고 중화기를 반입했으며, 서해 해안포 포문 개방을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이런 복원 조치에 대해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 영국·프랑스 순방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부터 9ㆍ19 남북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조치 이후 북한 동향 등 안보 상황 관련 보고를 받았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한편 군 당국은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가 궤도 진입에 성공해 정상적으로 돌고 있다며 2016년 ‘광명성’과 비교해 기술적 진전을 이뤘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다만 북한의 위성 사진 촬영 주장에 대해선 가능성을 낮게 보면서 보여주기식 선전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했다.
군 당국은 또 북한이 21일 발사한 ‘군사정찰위성’의 추진체 등 낙하물을 찾기 위한 우리 군의 탐색ㆍ인양작전을 이날 종료했다. 지난 8월에 이어 이번에도 ‘유의미’한 낙하물은 찾지 못했다고 한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