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최중현 기자] 인천시 일대 소규모정비사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나, 시공사 선정에 고초를 겪고 있다. 매년 인천 내 소규모정비사업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건설사들이 미분양 리스크와 함께 사업성 문제 등으로 수주에 나서지 않고 있다.
2일 인천시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인천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 62개, 소규모재건축 37개 등 총 99개 현장에서 소규모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는 작년 1월 대비 각각 77.14%(27개), 42.3%(11개) 증가한 수준이다.
인천시에는 다세대, 연립주택 등 저층 노후 주거단지가 많아 정비사업에 대한 갈증이 크다. 주민들은 대규모 정비사업 대신 속도가 빠른 소규모정비사업으로 정비사업 방향을 택하면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부동산 경기가 회복하지 못하면서 소규모정비사업 시장도 급격히 침체되고 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도시계획도로 등으로 둘러싸인 1만㎡ 미만의 정형화된 구역에서 추진할 수 있다. 관리계획 승인·고시가 이뤄진 지역에서는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 2만㎡ 미만까지 가능하다. 사업구역은 노후·불량 건축물의 수가 전체 건축물의 3분의 2 이상이며 기존 주택의 수가 20가구 이상(단독주택 10가구 이상)이어야 한다. 구역지정이나 추진위원회 설립 등 일부 절차가 생략돼 사업기간 단축과 사업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소규모재건축은 가로주택정비사업과 마찬가지로 사업시행구역의 면적이 1만㎡ 미만, 기존 주택 수가 200가구 미만일 경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인천시는 소규모정비사업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가로주택정비사업 통합 시행 면적을 기존 2만㎡ 미만에서 4만㎡ 미만으로 완화했으나, 소규모정비사업 시장의 활력을 불어넣지 못하고 있다.
인천 다수의 사업장이 ‘시공사 모시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찰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시공사 입찰에 나선 인천 부평구 부개동 155-5 일원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인천 남구 숭의동 289-1 일원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시공사 입찰이 모두 유찰돼 시공사를 물색 중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인천 창대빌라는 지난해 연말부터 현장설명회를 시작으로 시공사 선정에 나섰지만, 1년이 지나도록 시공사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정비업계에서는 인천 미분양 물량에 공사비 인상 등 리스크가 잔존해 있는 상황에서 분양가 인상은 어려워 수주를 강행할 만한 분위기는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최근 인천 미분양이 감소했으나, 여전히 리스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며 “공사비도 급등한 상황에 소규모정비사업의 경우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수주에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중현 기자 high-i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