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근우 기자] 내년부터 시작되는 ‘한국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을 기점으로 과학기술 국제화의 성장전략을 모색하는 자리에서 한국의 과학기술혁신 정책과 의제가 글로벌화가 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의제설정 이전 단계부터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서울 LW컨벤션에서 ‘과학기술 국제화의 성공조건: 과학기술혁신 정책ㆍ의제의 글로벌화’라는 주제로 ‘제455회 STEPI 과학기술정책포럼’을 온ㆍ오프라인 병행 개최했다.
제455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참석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과기정책연 제공 |
이번 포럼은 국가 위상과 뛰어난 과학기술경쟁력에 걸맞은 국내 과학기술계 역할과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주도할 수 있는 과학기술혁신 관련 의제의 선제적 개발 및 글로벌화하기 위한 필요 과제 등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문미옥 과기정책연 원장은 개회사에서 “과학기술협력 의제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다양한 협력의 장에서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글로벌 중추국가를 실현할 수 있다”며 “이제는 한국이 과학기술혁신 정책과 의제의 글로벌화를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내년부터 시작되는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은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강화할 좋은 기회”라면서 “오늘 포럼에서 한국이 주도할 수 있는 과학기술 혁신 의제의 선제적 개발과 필요전략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발제에서는 선인경 과기정책연 지속가능혁신정책연구단장이 ‘과학기술의 국제화, 과학기술정책의 국제화’라는 제목으로 과학기술혁신 의제 선도국으로써 한국의 역할과 가능성을 소개했다.
선 단장은 한국이 올해 글로벌 혁신지수 10위, 연구개발(R&D)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G20 국가 중 1위(한국 4.8%), R&D 투자액 5위(미국>중국>일본>독일>한국) 등 과학기술혁신 경쟁력과 과학기술투자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글로벌 의제 주도를 위한 콘텐츠 생산 및 글로벌 의제설정 영향력은 아직 미약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지난 10년간 투자된 국가R&D사업의 68%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SDGs 달성 목표를 명시하고 수행된 R&D 과제는 0%로, 한국의 과학기술혁신 경쟁력이 국제사회 내에서 파급력과 영향력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경쟁력 위상에 맞는 국제적 영향력을 펼치기 위해서는 글로벌 의제설정 이전 단계에서부터 한국이 국제 논의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해당 콘텐츠를 글로벌 의제화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송치웅 과기정책연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김영우 유엔개발계획(UNDP) 환경자문관, 김원식 씨젠 전무, 김재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류영대 한국연구재단 본부장, 박환일 과기정책연 본부장, 임만성 한국과학기술원 처장, 장홍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이 참석해 과학기술 정책과 의제의 글로벌화를 위한 다양한 국내 과학기술계 역할 및 2030년 종료되는 SDGs를 대체할 후속 글로벌 협력 프레임 등을 논의했다.
이근우 기자 gw89@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