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2030엑스포 부산 유치 실패와 관련,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가 불발된 것에 대해 “민관에서 접촉하며 저희가 느꼈던 예측이 많이 빗나간 것 같다”며 “모든 것은 전부 저의 부족”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9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담화에 전격 나서 “부산 시민뿐 아니라 전 국민의 열망을 담아서 민관 합동으로, 범정부적으로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추진했지만 실패했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대국민 담화는 사전 예고 없이 이뤄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오쯤 굳은 얼굴로 대통령실 브리핑룸 강단에 서 차분한 어조로 담화를 이어갔다.
윤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제가 대통령이 되면,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범정부적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을 드렸다”며 “당선인 시절에는 고맙게도 우리 기업들이 여기에 함께 하겠다고,또 민관 이 공동으로 일을 하겠다고 참여를 해 주셨다”고 소개했다.
이어 “지난 1년 반 동안 정말 아쉬움 없이 뛰었다고 생각한다”며 “저 역시도 96개국 정상과 150여 차례 만났고 수십개 정상들과는 직접 전화 통화도 해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가 이것을 잘 지휘하고 유치를 끌어내지 못한 것은 대통령인 저의 부족의 소치”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엑스포 유치는 실패했지만 우리 국토의 균형발전 전략은 그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부산 엑스포 유치는 단순히 부산만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서울과 부산을 두 개 축으로 해서 우리나라의 균형 발전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시도였다”며 “우리가 지금 특정 지역만 발전하는 불균형 성장을 해서는 우리가 잠재성장력을 키우고 비약적인 성장을 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마치 축구에서 운동장을 전부 써야 좋은 경기가 나오듯 우리가 세계 10대 경제 강국에서 여기서 더 점프를 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토의 모든 지역을 저희가 충분히 산업화해서 다 사용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 저는 영호남 지역을 부산을 축으로, 수도권ㆍ충청ㆍ강원지역은 서울을 축으로,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산을 해양과 국제금융과 첨단 산업 디지털의 거점으로서 계속 육성을 하고 우리 영호남의 남부지역이 유기적으로 연결해, 굳이 서울까지 오지 않더라도 남부지역에서 부산 거점으로서 모든 경제 산업 활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을 차질없이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부산 엑스포는 나눔의 엑스포, 연대의 엑스포란 점을 강조해 왔다”며 “이러한 대외정책 기조에는 전혀 변함이 없고 우리의 글로벌 중추 외교 기조 하에 국제사회에 대한 책임 있는 기여는 대한민국의 국격을 위해서도 반드시 철저하게 추진하고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또 “우리의 핵심 파트너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원하던 리야드 엑스포 개최를 성공적으로 이루게 돼서 정말 축하한다”며 “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그동안 준비해 왔던 자료와 경험과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산을 사우디에 충분히 지원해서, 사우디가 2030년에 성공적인 엑스포 개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다시 한 번 엑스포 유치를 총지휘하고 책임을 진 대통령으로서 우리 부산 시민을 비롯한 우리 국민여러분을 실망시켜 드린 것에 대해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거듭 표했다.
앞서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 1차 투표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가 165표 중 119표(72%)를 얻어 2030 엑스포 유치를 확정했다.
부산은 29표(17%)를 얻어 엑스포 유치가 무산됐다. 이탈리아 로마는 17표(10.3%)를 얻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