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희연 교육감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에서 열린 서울교육 국제화 추진방안ㆍ영어 공교육 강화방안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 |
[대한경제=서용원 기자]서울시교육청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학생과 영어회화 수업을 하는 로봇을 투입한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29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서울 영어 공교육 강화 방안(AI 기반 영어로 소통하는 서울 학생)’과 ‘서울교육 국제화 추진 방안(세계시민형 민주시민 양성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영어 공교육 강화 방안에는 ‘AI 기반 영어 말하기(표현) 교육 강화’를 위해 2024년부터 민간 기업과 협력한 ‘영어 튜터 로봇’과 대학 연계 ‘음성형 챗봇’을 시범 도입하는 내용이 담겼다.
영어 튜터 로봇은 5개 초ㆍ중학교에 각각 1대씩 보급될 예정이다.
음식점에서 볼 수 있는 서빙 로봇과 유사한 생김새의 이 로봇은 AI기능이 탑재돼 학생과 1:1로 영어 대화를 할 수 있다.
로봇은 교실에서 보조교사 역할을 하면서 원어민처럼 영어회화를 한다.
학생의 발음을 교정하고, 학습이 뒤처진 학생에게 다가가 개별 교육을 하는 등 맞춤형 수업도 할 수 있다.
교육청은 시범사업 후 성과가 좋으면 수요 조사를 거쳐 영어 튜터 로봇을 확대 보급할 방침이다.
음성형 챗봇 앱은 내년 3월 3개 초ㆍ중학교에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이 앱은 식당에서 음식 주문을 하는 상황을 가정한 영어회화 등을 할 수 있는 등 앱에서 학생이 특정 상황을 설정하면 ‘프리토킹’을 할 수 있는 상황을 연출한다.
앱은 무료 대여 디지털 기기인 ‘디벗’이나 개인 휴대전화, PC 등에 설치해 쓸 수 있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활용 중인 초등학생용 영어 말하기 연습 시스템 ‘AI 펭톡’의 홍보와 연수도 강화한다.
교육청은 ‘교육청 자체 AI 기반 영어교육 자료’도 개발해 보급한다. 중학생 대상으로 교과서 및 교육과정 기반 영어 말하기 콘텐츠ㆍ시스템(가칭 SSS : Seoul Students Speak, 서울 학생 말하기 콘텐츠ㆍ시스템)’을개발하고 초등 영어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재를 제작ㆍ보급한다. 아울러 에듀테크 활용 우수 영어 수업사례 동영상 및 e-book을 제작해 영어담당교사들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도 확대 배치한다. 희망하는 모든 공립초등학교에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배치하고, 희망하는 학교에 최대 2명까지 확대 배치한다. 또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배치에 따른 학교의 행정업무 부담을 완화하고자 전담 조직을 설치ㆍ운영할 예정이며, 우수한 원어민 확보를 위해 주거비 지원을 현실화할 계획이다.
이날 교육청은 학생들의 글로벌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국제공동수업도 확대한다고 밝혔다. 해외 학생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형태의 국제공동수업(코딩 활용 수업 등)을 기획하고, 상호방문(대면교류)을 확대한다. 또 외국어에 능통한 국제공동수업 지원단을 구성해 원격수업 준비ㆍ진행(통역 등) 및 학교 간 소통을 돕는 등 현장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세계시민교육원’도 설치하기로 했다. 현재 가평에 있는 글로벌언어체험교육원을 서울로 이전시켜 분절적으로 추진되는 국제화 정책들을 하나로 통합ㆍ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세계시민교육 관련 교사 연수와 자료개발, 원어민 관리, 다문화교육 등의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역할과 기관의 규모는 추후 TF를 운영해 결정할 예정이다.
조희연 교육감은 “우리 학생들이 넓은 세계를 자유롭게 누비고, 열린 마음으로 세계를 받아들이도록 최선을 다해 가르치겠다”라며 “서울을 글로벌 교육을 선도하는 도시로 만들고, 열린 다문화 시대로의 이행이라는 목표에 다가가겠다”라고 밝혔다.
서용원 기자 anto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