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김수정 기자 |
[대한경제=김수정 기자]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급감하는 등 ‘입주절벽’이 가시화되고 있다. 비용 부담으로 지금의 매수 관망세가 연말연초에도 이어질 전망인 가운데, 특히 전세로 발길을 돌리고 있는 서울 거주 수요자들에겐 공급불안 심리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10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10월 서울의 인허가 물량은 2071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 물량은 973가구로 76% 급감했다. 지난 9월과 대비해선 인허가 및 착공 물량이 늘긴 했지만,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이 시장에 아직까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 내년 서울 입주절벽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부동산 업계 반응이다.
부동산R114에선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을 1만921가구(임대 포함)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R114가 관련 통계 집계 시작한 2000년 이후 최저치로, 올해 3만 2819가구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내년에 1300∼1400가구 정도가 후분양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지만, 이 경우에도 1만2000여가구에 그친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내년 서울 입주절벽으로 공급불안 심리 확산이 불가피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부분이다. 특히 서울은 대기잠재수요가 크고 자가보유율이 40%대 밖에 안돼 절반 이상이 임차로 살고 있는 만큼, 결국 공급불안은 전셋값 등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을 서울 외곽으로 밀려나게 만드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의 주택소유율은 48.6%로 절반 아래다.
업계 전문가는 “서울을 중심으로 입주물량이 급감한 이유 중 하나로 이전 정부가 집값 급등을 잡기 위해 2020년 7월 민간택지에도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한 것이 꼽히는데 어려운 시기에는 정치권에서 선거철이라도 여론관리용 제도(분상제 등)를 지양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같은 주택사업자들이 분양을 미루게 만드는 장치가 있으면 공공주도의 공급확대가 아니고선 민간의 공급을 확대해서 공급불안을 해소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고 설명했다.
학계 전문가는 “일각에서 인구가 줄어드는데 과잉 공급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지만 서울은 주택보급률이 100%가 넘지 않기도(2021년 기준 94.2%) 하고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이 모자란 상황이 맞다”며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곳에 더 빠르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디에나 막 공급하는 게 아닌 서울과 같은 수요 특화지역에 빠른 공급을 할 수 있는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김수정 기자 crysta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