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500대 기업 2024년 국내 투자계획./사진: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국내 주요 기업의 절반 이상이 아직도 내년 투자계획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된 탓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국내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131개사)의 55.0%는 내년도 투자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거나(49.7%) 투자 계획이 없는(5.3%)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45.0%)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 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61.0%)이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올해보다 투자를 확대할 것’(28.8%)이라는 응답은 ‘축소’(10.2%) 응답보다 많았다.
지난해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투자 계획이 미정인 기업 비중은 지난해(38.0%) 대비 11.7%p 올랐다.
다만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에서 투자 확대 응답기업의 비중은 지난해에 비해 큰 폭 증가(13.5%→28.8%)했고, 축소 응답기업의 비중은 감소(19.2%→10.2%)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한경협은 “불확실한 경영 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투자를 미루고 있는 기업들이 여전히 많다”면서도 “지난해보다는 많은 기업들이 자사 경쟁력 제고와 미래 시장변화 대비를 위해 투자 확대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내년에 투자 확대를 계획하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37.3%)를 비롯해 내년 경제전망 양호(25.5%), 업황 개선 기대감(15.7%), 불황기 적극 투자로 경쟁력 확보(7.8%) 등을 주로 꼽았다.
반면 내년도 투자 축소를 계획하거나 투자 계획이 없는 기업(미정 포함)은 불투명한 경제 전망(31.6%), 원가 상승 리스크 확대(26.6%), 금융시장 위축에 따른 자금조달 애로(14.3%) 등을 이유로 지목했다.
내년 기업 투자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고금리 지속(33.6%)이 가장 많이 선택받았다. 이어 고환율ㆍ고물가 지속(24.2%), 글로벌 경기 둔화(21.6%), 민간부채 위험(9.4%)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한경협은 “물가가 최근 안정세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한은의 목표물가 수준(2.0%)을 상회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당분간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기업 투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경기 회복으로 투자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는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기업 3개사 중 1개사(32.8%)가 ‘2024년 하반기’를 지목했다. 19.8%(상반기 15.3%+하반기 4.5%)는 2025년을 꼽았고, 2024년 상반기로 응답한 기업은 12.2%였다.
현재 기업들이 투자할 때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시설투자 신ㆍ증축 관련 규제(28.8%)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 외에도 ESG 규제와 관련 지원 부족(18.1%), 신산업 진입 규제(14.0%), R&Dㆍ시설투자 지원 부족(13.7%) 등이 지목됐다.
기업들은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는 금리 인하(28.8%), 법인세 감세 및 세제지원 강화(22.6%) 등 자금사정 개선대책이 꼽혔다. 투자 관련 기업규제 완화(18.3%), 금융지원 확대(12.7%) 등도 거론됐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영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기업들이 늘어난 것은 우리경제에 고무적 조짐으로 해석된다”며 “규제 완화 등 제도적 개선을 지속하는 한편 기업들의 어려운 자금사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금융ㆍ세제 지원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