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이종호 기자]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들이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차입금 규모가 2년새 165조원 이상 늘면서 올 3분기 현재 953조300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3년 지정 500대기업 중 2021년~2023년 3분기보고서를 제출한 272개 기업(금융사 제외)을 대상으로 차입금 규모와 의존도를 조사한 결과 차입금의존도는 27.7%를 기록했다.
지난 2021년 3분기 대비 차입금 규모는 165조2161억원(21.0%↑) 증가했고, 차입금 의존도는 0.7%포인트 늘었다.
차입금은 기업들이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부채를 말한다. 차입금 의존도는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이며, 흔히 시장에서는 30% 이상인 경우 재무 위험이 커지며 40% 수준이면 재무 위험 수준으로 보고 있다.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DN오토모티브 차입금 의존도가 2년새 27.5%포인트 늘어 상승폭이 가장 컸고, SK쉴더스는 62.9%포인트 줄어 하락폭이 가장 컸다.
업종별로는 공기업의 차입금의존도가 올해 3분기 기준 51.1%로 가장 높았으며, 지주 업종의 차입금의존도가 6.0%로 가장 낮았다.
지난 2년 간 조사 대상 272개 기업 중 179개(65.8%) 기업의 차입금 규모가 증가했다. 차입금 규모가 2배 이상으로 크게 늘어난 기업도 29개나 됐다.
차입금 규모가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한국전력공사다. 한국전력공사의 올해 3분기 기준 차입금은 138조492억원으로 2021년 3분기와 비교해 57억8686억원(72.2%) 증가했다.
이어 △SK하이닉스(18조7202억원↑, 118.0%) △한국가스공사(16조3722억원↑, 66.2%) △현대자동차(14조5407억원↑, 13.4%) △LG화학(7조8888억원↑, 56.3%)가 차입금 규모 증가액 상위 5위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차입금 규모를 가장 크게 줄인 곳으로는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기준 차입금은 2021년 3분기와 비교해 9조195억원(47.3%) 감소한 10조5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올해 2월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연 이자율 4.6%로 20조원을 빌렸지만, 차입금 규모는 오히려 2년 전보다 줄었다.
차입금의존도는 올해 3분기 기준 효성화학이 78.6%(2조5522억원)로 제일 높았다.
또 효성화학을 포함해 한국가스공사(72.8%), 도이치모터스(65.6%), 롯데렌탈(62.7%), 롯데글로벌로지스(62.4%), 이마트에브리데이(61.4%) 등 27개 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50% 이상이었다.
반면, 현대엔지니어링(0.3%), 한전KPS(0.5%), LX세미콘(0.8%), 롯데정밀화학(1.0%), 에스원·농심(1.9%), 대덕전자(2.0%) 등 40개 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10% 이하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종호 기자 2pre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