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레이장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대표가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국 기업 지적재산권 및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알리익스프레스 |
[대한경제=오진주 기자]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해외 직접구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알리)가 ‘짝퉁’ 오명을 벗기 위해 한국에 앞으로 3년 동안 100억원을 투입한다.
6일 레이장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대표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알리가 지적재산권과 소비자 보호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건 한국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선 한국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미 알리는 지난 3월 한국에 1000억원 규모의 마케팅과 물류 서비스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는 CJ대한통운을 통해 물건을 배송하고 있지만 늘어나는 물량에 내년에는 한국에 물류센터를 건립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날 레이장 대표는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내년에 한국에 물류센터 개설을 고려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5일 이내에 상품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하지만 가품은 알리의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힌다. 지난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는 국회의원 배지까지 알리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의원들의 질타에 레이장 대표가 “즉각 조처하겠다”며 몸을 낮추기도 했다.
알리가 이번에 간담회를 연 건 가품 논란을 정면 돌파하겠단 의지로 풀이된다. 레이장 대표도 “한국 소비자들이 알리를 많이 찾으면서 그에 따라 알리의 책임감도 커지고 있다”며 한국 시장을 잡아야 한단 의지를 보여줬다.
알리의 한국 기업에 대한 지적재산권과 소비자 보호 방안은 ‘프로젝트 클린’으로 요악된다. 가품이 유통되기 전에 막고 소비자가 증거를 제출할 필요 없이 100% 환불·반품해주겠단 방침이다.
우선 판매자의 브랜드·판매 허가증을 검증하고, 인공지능(AI)이 텍스트와 이미지를 읽어 가품을 판별한다. 또 반복적으로 규칙을 위반하는 판매자에게는 강력한 패널티를 준다. 소비자는 상품 페이지에서 바로 가품을 신고할 수 있도록 만들고, 한국 소비자 전담 창구도 만들 계획이다.
미스터리 쇼퍼(위장 손님)도 가동한다. 이들이 무작위로 가품 의심 상품을 검사하고, 가품으로 판명되면 즉시 상품 리스트에서 삭제한 뒤 판매자에게도 패널티를 부과한다.
알리에 따르면 지난 두 달 동안 97만7151개의 가품 의심 상품이 삭제됐고, 1193개 상점이 문을 닫았다. 알리는 이로 인해 7550여개의 한국 브랜드가 보호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알리의 공격적인 초저가 마케팅으로 인해 국내 소상공인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단 비판에 대해 레이장 대표는 오히려 알리가 소상공인을 지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알리가 지난달부터 시작한 한국 상품 판매 코너인 ‘케이 베뉴(K-Venue)’에 현재는 한국 대기업이 입점 중이지만, 앞으로 소상공인이 참여하는 상생프로젝트로 운영하겠단 계획이다.
그는 “알리바바그룹의 기업간(B2B) 플랫폼인 알리바바닷컴은 한국 기업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돕고 있다”며 “한국의 중소기업이나 독립 디자이너가 알리를 활용해 훌륭한 제품을 전세계에 판매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레이장 대표는 알리바바그룹의 11번가 인수설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알리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며 인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진주 기자 ohpear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