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과기정책연, APCTT 기후대응위한 사회 문제 해결 ‘K-정책’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3-12-10 10:15:55   폰트크기 변경      
‘R&D 기반 리빙랩’ 활용

[대한경제=이근우 기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지난 5일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에서 열린 ‘기후대응을 위한 녹색 기술 국제 컨퍼런스’에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R&D): 리빙랩’이라는 주제로 기술 세션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제19차 아시아ㆍ태평양 기술이전센터(APCTT) 운영이사국 총회의 부대행사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PCTT,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 우즈베키스탄 혁신청, 운영이사국 등 150명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성지은 과기정책연 선임연구위원이 첫 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과기정책연 제공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성지은 과기정책연 선임연구위원은 ‘R&D 기반의 리빙랩과 한국의 정책 사례’라는 제목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R&D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한국의 리빙랩 활동을 공유하며 기후변화 해결에 있어 리빙랩을 통한 아ㆍ태지역의 협력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종합적 시각에 기반한 통합 지원과 사용자 참여를 통해 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사회 주도형 혁신 모델 리빙랩’을 통한 다양한 소셜 임팩트 창출 및 고도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송종석 핵융합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적정기술로서 플라즈마 기술의 활용 제안’이라는 주제로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개도국의 비료 자급화 방안을 문제해결형 R&D의 글로벌화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협력 활동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역 또는 국가 특성에 맞는 ‘로컬랩’과 현지 이해관계자와의 능동적인 소통, 현지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관계의 중요성도 전했다.

마지막 발제를 맡은 원종화 포어시스 대표는 ‘해양쓰레기 통합 솔루션 기반의 해외 공적개발원조(ODA) 진출 방안’이라는 제목으로 해양 폐기물 주요 배출원인인 하천에서 인공지능(AI)ㆍ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배출국가, 배출량, 쓰레기 종류 등에 대한 데이터 구축과 국가, 지자체, 생산자 등이 폐기물 처리비용 분담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태국 정부 등 회원국의 많은 관심을 받으며 함께하는 ODA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협력 가능성을 비쳤다.

김은주 과기정책연 책임연구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 및 질의응답에서는 기후위기, 해양 쓰레기 문제 등 유엔 ESCAP 회원국이 직면한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R&D와 실천적인 리빙랩에 대한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한편 유엔 ESCAP APCTT는 아ㆍ태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환경을 구축ㆍ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 운영이사국 총회는 매년 실시되며 올해 19차를 맞아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에서 지난 6~7일 개최됐다.

총회에는 한국을 비롯해 우즈베키스탄(의장국), 방글라데시(부의장국), 필리핀, 태국, 중국, 인도, 러시아, 이란, 말레이시아, 네팔 등 11개국이 참여했다.

운영이사국은 APCTT 5개년 전략계획(2023~2027)에 따라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기후기술(에너지전환ㆍ재생에너지, 정책규제, 기후변화에 강한 인프라, 디지털 및 4차산업 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협력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14년 5월 APCTT 운영이사국으로 참여했고 올 5월 재선임돼 현재 4번째 임기(2023~2026년)를 수행중이다.

이근우 기자 gw89@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이근우 기자
gw89@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