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경제전문가 10명중 7명꼴 “우리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3-12-12 12:00:17   폰트크기 변경      
경총,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경제전문가 조사 결과 발표

[대한경제=김희용 기자] 국내 경제ㆍ경영학과 교수 200여명은 우리 경제가 장기간 1∼2%대의 저성장 기조가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경제 활력과 기업 영속성 제고 위해 법인세와 상속세 낮추는 방안을 제고해봐야 한다고 응답했다.

12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은 경제전문가(경제ㆍ경영학과 교수 211명, 응답자 기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리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응답 / 경총 제공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3.2%는 우리 경제가 장기간 1~2% 대의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4년 하반기 또는 2025년’에 환율(63.5%)과 물가(72.1%)가 안정화될 것이란 응답이 많았다. 법인세와 상속세 최고세율은 지금보다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리 경제성장률이 향후 어떤 모습으로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73.2%는 우리 경제가 “장기간 동안 1~2%대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답했다. “내년에 2%대에 진입하고 2025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4%, “우리 경제가 빠르게 회복해 내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에 그쳤다.

최근 어려운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50.5%는 ‘이-팔, 러-우 전쟁, 미-중 패권 다툼, 고물가 등 전세계적인 경제ㆍ정치 리스크’라고 답했다. 이어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23.8%)’ , ‘과도한 규제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처진 법ㆍ제도(19.4%)’ 등의 응답이 나왔다.

최근 1300원 수준으로 높아진 환율(원/달러)이 기존 변동 범위(1050원~1250원) 안에서 안정화되는 시기에 대해서는, ‘2024년 하반기’로 예상한 응답이 32.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2025년’이 30.8%로 높앗났다. 환율이 “기존 범위에서 안정화되지 않고 변동 범위 자체가 상향 조정될 것”이란 응답 역시 26.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해 응답자의 61.1%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당분간 현행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가계부채 관리, 자본유출 방지, 고물가 억제 등이 더 시급하므로 기준금리를 더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25.6%, “소비 촉진, 투자 활성화 등 경기 부양과 성장 제고를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은 13.3%로 각각 집계됐다.

우리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 도달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2025년’을 답하는 비율이 3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24년 하반기(35.1%)’, ‘2026년 이후(20.4%)’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2024년 상반기’에 물가가 2%대에 도달할 것이란 응답은 7.6%에 불과했다.

법인세 최고세율 조정에 대한 응답 / 경총 제공

법인세제에 대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고세율을 현행(24%, 중앙정부 기준) 수준보다 더 낮춰야 한다는 응답은 66.1%로 가장 많았다. 다만, 전문가 중 29.7%는 ‘중장기적으로는 더 인하하되, 당분간은 현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해 현 재정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15.8%, 지금보다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8.2%에 그쳤다.

상속세 최고세율을 낮추거나 폐지하고 자본이득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은 70.6%로 나타났다. 반면 상속세 최고세율을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17.1%,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2.3%에 불과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횡재세’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57.8%가 “특정 시점의 높은 이익을 이유로 횡재세를 걷는 것은 시장 원칙에 맞지 않는 조치로 부과해서는 안된다”고 답했다. 이와 달리 “최근 상황에서 일부 업종의 높은 이윤에 대해서는 (횡재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응답은 27.0%, “상생 강화 차원에서 더 포괄적으로 부과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15.2%였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김희용 기자
hyo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