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김승수 기자] 전쟁과 인플레이션이라는 여건 속에서도 해외건설 수주 실적이 4년 연속 300억달러 넘어선 가운데 전문건설업 등 중소기업의 진출은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업계 관계자들은 현지 지원 플랫폼과 네트워크 허브 구축 및 기술 사업화를 통한 진출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14일 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 건설브리프 등에 따르면 해외건설분야에서 중소기업 해외건설 계약비중은 2008년 15.1%였지만, 이후 꾸준히 하락해서 2019년 7.6%, 2020년 3.4%, 2021년 4.2%, 2022년 5.2% 2023년 10월 5.2% 등 최근 5%대에서 머물고 있는 수준이다.
건정연에서는 전문건설 등 중소기업이 해외진출이 힘든 요인으로 해외 건설에 대한 전략 부족으로 사업 수익성이 높지 않거나, 발주 국가의 경제ㆍ정치ㆍ환경 리스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전문건설업체가 해외로 진출할 때 대형건설사와 파트너십 등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문건설업의 경우 국내의 하도급 공사에 익숙하다보니 단독으로 공사를 수행할 역량을 확보하지 못한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정보 부족과 대기업 위주의 지원책도 전문건설업체의 해외진출을 가로막는 걸림돌 중 하나다.
대기업과 달리 해외건설 기술자가 부족하고 현지 입찰 및 시공 관련 정보 부족으로 해외 건설 참여가 줄어들다보니 자연스럽게 해외 리스크 관리능력, 자금조달 및 보증 관련 정보의 한계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민관합동 원팀코리아 구성, 해외발주정보의 통합 제공, 정부 간 협상 지원 강화와 수주 지원을 위한 정책들은 대부분 종합건설에 치중돼 있어 중소규모의 건설사 참여 독려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건정연에서는 정부와 조합, 협회의 적극적인 인센티브 제공과 현지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전문건설의 기술 개발의 현지화와 선진화를 통한 진출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정연은 또 정부가 해외 발주자ㆍ기관과 전문건설업체가 교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전문건설업이 포함되는 원팀 코리아 구성을 해야한다고 제언했다.
또 보증기관은 현지 은행과의 연계성 제고와 보증 확대 등을 통한 금융 지원의 다각화를 시도해야하고 관련 협단체에서는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현지 인력, 장비, 자재 등 확보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건설분야에 중소기업과 전문건설업체의 수주 감소는 결국 대기업 입장에서도 협력 파트너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라며 “전문건설업계 해외진출을 위한 민관의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김승수 기자 soo@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