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사라왁 H2biscus 청정수소 프로젝트 조감도. / 삼성엔지니어링 제공. |
[대한경제=김승수 기자] 정부가 지난해 실적을 뛰어넘는 해외 건설 수주를 위해 플랜트 분야를 5대 수출 유망분야로 선정하고 목표달성의 동력으로 삼는다.
특히 세계 각국의 플랜트 시장 역시 긍정적인 신호가 많이 감지되고 있어 정부의 이 같은 전략이 유효하게 적용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열린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목표와 전략을 담은 '2024년 플랜트 수주 확대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플랜트 수주 목표를 지난해 302억 달러보다 높은 330억 달러로 설정했다. 정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정상ㆍ고위급 세일즈 외교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총력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정부가 해외 건설 수주 분야에서도 플랜트에 집중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플랜트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플랜트 시장은 지난해보다 10% 넘게 증가한 3조5000억 달러 규모로 예측된다. 엔데믹과 고유가 등의 영향에 따라 발주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국내 기업들의 플랜트 수주 경쟁력이 해외 다른 나라와 달리 강화됐다고 판단한 것도 한 몫했다. 세계 여러 플랜트 기업들은 2010년대 중반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이후 재무 악화로 인해 공격적인 수주 전략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시장 침체기에도 계열사 물량을 수주하고 국내 건설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등으로 버티면서 세계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했다.
이 같은 이유들을 근거로 정부는 올해 세계 곳곳에서 수주 확대에 나선다.
먼저 기존의 수주 텃밭이라고 불리는 중동에서는 산업전환을 하는 국가들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중동에서는 현재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으로의 전환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중동지역의 변화에 따라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도전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기업들 역시 사우디와 UAE 등에서 다양한 수주전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지난 2년간 정상 세일즈 외교를 통해 닦은 협력 틀을 기반으로 올해도 중동에서 고위급 교류를 이어가며 수주 확대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중동 뿐만 아니라 아세안·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올해 굵직한 플랜트 발주가 이어지고 있어 이에 따른 국내기업의 참여도 예상된다.
현재 호주에서 뉴잉글랜드 재생에너지존(REZ) 송·변전 민간 협력사업(65억달러), 인도네시아에서 TPPI 올레핀 석유화학단지 프로젝트(55억달러), 파푸아뉴기니에서 LNG 개발사업(30억달러), 베트남에서 하이랑 LNG 발전 사업(22억달러) 등이 진행 중이다.
신규시장으로 분류된 아프리카, 미주 등에서는 밑그림부터 그린다는 계획이다.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재건 수요가 발생하는 우크라이나에는 연내 민관 사절단을 파견해 진출 기반을 다진다는 복안이다.
또 아프리카에서는 모잠비크와 에티오피아 등에서 해양·발전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가 진행 중인데, 이들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올해 서울에서 열리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수주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정부는 플랜트 수주 확대를 위한 금융지원도 늘린다.
위험성이 높은 국가에 대해서는 플랜트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한국무역보험공사를 통한 금융보증 지원도 강화한다.
이와 함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한 지원 자금의 연간 승인 규모를 역대 최대인 4조5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건설 수주 확대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다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면서도 “해외건설 시장에서는 변수가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대책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승수 기자 soo@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