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경기도 준공 20년 이상 주택 59.1%…“노후주택 재정비 촉진 시급”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3-08 15:38:44   폰트크기 변경      

이지현 주택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8일 진행된 ‘도시 내 노후주택 정비사업 활성화방안 세미나’에서 설명하는 모습.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제공

[대한경제=김수정 기자] 성남, 수원 등 경기도에 지은 지 20년이 지난 주택이 29만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택 중 60세 이상 노인 소유비율이 72.6%에 달하면서 경기지역 노후주택에 대한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8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은 경기도지역 주택 및 건설사업자 단체와 공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도시 내 노후주택 정비사업 활성화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서울을 둘러싼 경기도 내 단독주택은 30% 이상이 1990년대 이전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소규모(200㎡)로 환지받은 토지에 건축된 주택들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주택을 소유 중인 가구 중 60세 이상 노인가구의 비율이 72.6%에 달해 정비사업 추진의지와 능력, 사업성 문제 등으로 장기간 방치되고 있다.

또한 2022년 말 기준 경기도 내 총 주택 419만가구 중 단독주택은 11.7%(49만가구)인데 이 중 준공 후 20년 이상 경과된 주택은 59.1%(29만가구), 30년 이상 경과된 주택은 32.9%(17만가구)에 달한다. 이들 노후 단독주택은 성남, 수원, 안양, 평택, 고양, 의정부, 동두천 등 주로 서울 남부와 북부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시설 노후화로 인한 불편은 물론 지진 발생 시 구조 안전이나 화재위험, 공원녹지 및 주차장 부족, 대중교통과 쓰레기처리 등 생활불편으로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주산연 관계자는 “규제완화 및 자금지원과 용적률 인센티브 확대, 우수사업자와 공동시행 등 제도보완을 통해 정비사업을 촉진 주택공급 확대 및 생활편익 제고와 더불어 지진이나 화재위험을 낮출 필요가 크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세제 및 자금지원 확대와 아울러 해당 사업들은 사실상 대형 건설업체가 참여하기 어렵다”며 “집주인들이 공신력 있는 지역의 주택·건설사업자들에게 믿고 맡길 수 있도록 지자체 등에서 업체의 사업참여 신청에 따라 신인도 평가·추천과 표준계약서 제정, 컨설팅서비스 제공 등 공동사업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 긴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수정 기자 crysta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김수정 기자
crystal@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